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 4(통권 29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도시 개발 여건에 따른 공공디자인체계의 다각화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Diversification of Public Design System according to Urban Development Conditions’

DOI : 10.46248/kidrs.2023.4.267
  • 13

2023 노후 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주택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진행되었던 1기 신도시를 필두로 도시구조의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과거 단순한 주택 부족 해결 목적의 도시 개발에서 개개인의 삶의 질과 국가 품격의 향상, 기본적 안전의 보장을 지향하는 공공디자인의 목적이 반영된 뉴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그간 초기 기획 단계에서 간과 되었던 공공디자인 분야에 대한 도시 개발 계획에의 반영에 대한 기초연구이다. 우리나라 도시의 개발 흐름을 살펴보고 각 시기 별 대표 도시 4곳의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현황과 방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이를 반영한 후속 연구를 진행하여 우리 도시가 수용할 수 있는 구조적인 배경과 개발 방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할 공공디자인 체계의 다각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the Improvement and Support of Old Planned Cities in 2023, we faced a new change in the urban structure, starting with the first new city that was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housing shortage. In urban development aimed at solving the problem of simple housing shortage in the past, it is argued that a new paradigm is needed that reflects the purpose of public design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ensuring national dignity, and basic security.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n reflecting urban development plans in the field of public design that were overlooked in the initial planning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trends of cities in Korea an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public design promotion plans in four representative cities in each period.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conduct a follow-up study reflecting this in the future to suggest ways to diversify the public design system that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tructur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method that our city can accep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시기별 대표도시 공공디자인 현황

4. 시기별 대표도시 공공디자인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