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2권 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연극학계의 수행성 연구에 관한 메타비평 Ⅰ

Meta-Criticism on Performance Studies in Korea: Focusing on trends,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from 2000 to 2023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3년 현재까지 한국연극학계에서 이루어진 수행성(performativity)과 연극(theatre)을 주제어로 하는 퍼포먼스연구에 관한 메타비평이다. 연구대상은 국내의 학회지에 발표된 국내학술논문 100편이며, 연구목적은 한국연극학계의 수행성연구에 나타난 전체적 동향, 한계 그리고 그 의의를 밝히는 것이다. 접근방법으로 물질성, 기호성, 매체성, 미학성이라는 4 범주로 연구양상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주로 장르미학에 대한 연구에 머무르며, 다양한 층위의 물질성의 소통방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그리고 수행적 행위의 의미화과정에 일어나는 행위자와 참여자 간의 상호주체적인 지각적 소통을 서술하는데, 방법론적 모순과 한계가 있었다. 가장 유의미한 사실은 수행성 개념으로 한국의 전통연희와 근현대의 연극미학적 장르가 다시 읽히고 반영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이다, 나아가 연극예술을 넘어 교육, 정치, 문화, 사회, 다른 예술쟝르 등의 다양한 영역에 수행성 개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으며, 어떻게 삶으로 확장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고 실천적으로 이루어졌다.

This study is a meta-criticism of Performance Studies conducted in the Korean theater academia from 2000 to 2023 on the subject of performativity and theater.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00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overall trends,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Korean Performance Studies. As a resul t of anal yzing the research patterns into four categories: materiality, semiotics, media, and aesthetics, performance studies were mainly limited to genre aesthetics, and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the communication methods of materiality at various levels, and problems with methodological techniques in the writing process. The most significant fact i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and modern and contemporary theater have begun to be reread and reflected under the keyword of performativity. In addition, Korean Performanc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o use it in various areas and expand it into life beyond theater arts.

Ⅰ. 서론

Ⅱ. 수행성 연구의 동향, 한계 그리고 의의

Ⅲ. 활용, 적용 그리고 확장의 지형도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