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문화연구 제88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의 산수화 연구

A Study on Landscape Paintings of Geungjae (兢齋) Kim Deuk-shin (金得臣, 1754-1822)

DOI : 10.18347/hufshis.2023.88.191
  • 79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은 흔히 김홍도와 신윤복과 더불어 조선시대 3대 풍속화가로 불리거나 김홍도의 영향을 많이 받은 화가 정도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그는 44년 이상을 국가의 중요한 화업을 담당한 도화서 화원이었으며 잘 알려진 풍속 외에도 인물, 산수, 영모, 화조 등 거의 모든 화목에서 특출난 실력을 뽐내던 당대 최고의 화가 중 한 명이었다. 특히 녹취재(祿取才) 성적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의 산수 실력은 다른 화목에 비해서도 당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으며, 현재 일부 작품이 전해져 그 면모를 확인할 수도 있다. 김득신의 산수화는 조선 후기 산수화의 두 흐름인 관념적 이상적 산수를 그린 사의산수화와 우리 산천을 그린 진경산수화가 모두 전해진다. 이를 통해 그의 다양한 작품세계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산수화풍의 다양한 면모와 변천 과정까지도 알 수 있다. 또한 풍속, 도석인물, 영모·화조 등 김홍도 화풍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화목에 비해, 산수는 정선, 심사정, 김응환, 김홍도 등 산수 분야에서 큰 업적을 이룬 여러 선배 화가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다른 양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즉, 그의 산수화는 선배 화가의 작품이나 화보 등을 접하고 충분히 습득한 후, 본인의 취향과 선호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자신만의 산수화풍을 정립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한편, 김득신의 산수화는 큰아버지 김응환, 친동생 김석신, 아들 김하종 등과도 연관성을 보여 개성김씨 집안 내 화풍도 관찰해볼 수 있다. 김득신의 산수화풍은 정선과 심사정 등의 영향을 받은 김응환으로부터 자극받아 김석신과 김하종 등에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그의 산수화는 개성김씨 집안 내 화풍 정립과 후대 화원화가의 산수화풍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Geungjae (兢齋) Kim Deuk-shin (金得臣, 1754-1822) is known as one of the three genre painters along with Kim Hong-do (金弘道, 1745-1806?) and Shin Yun-bok (申潤福, 1758-1817 afterwards) or only as a painter who had been largely influenced by Kim Hong-do. In fact, he was a 44-year veteran Dohwaseo painter who had participated in important national art projects. Aside from his famous genre paintings, his extraordinary talent in portraits, landscapes, birds and animals, and flowers and animals established him as one of the best painters during the period. Especially, his results in Nokchwijae (祿取才: the state examination for court painters) demonstrates his ability in landscape painting among other themes as well as how much recognition he received at the time; some of these works are currently available. Kim Deuk-shin’s landscape paintings carry two styles of landscape painting in Late Joseon Dynasty: literati landscape painting of the ideal and conceptual landscape and true-view landscape painting that painted mountains and rivers in Korea. This allows better understanding of his diverse works, as well as the variety of trends and transformations of the landscap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themes such as genre, figure painting of Taoism and Buddhism, birds and animals, and flowers and animals that had been apparently influenced by Kim Hong-do’s style, his landscape painting has a different pattern due to being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by a number of preceding painters including Jeong Seon (鄭敾, 1676-1759), Sim Sajeong (沈師正, 1707-1769), Kim Eung-hwan (金應煥, 1742?-1789), and Kim Hong-dothat were largely established in the area of landscape painting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observe the Gaeseong Kim family’s painting style from Kim Deuk-shin’s landscape paintings as they show association with those of his uncle Kim Eung-hwan, brother Kim Seok-shin (金碩臣, 1958-?) and Kim Ha-jong (金夏鍾, 1793-1875 afterwards). Kim Deuk-shin’s landscape painting style may have been passed on to Kim Seok-shinand Kim Ha-jong through secondary influence from Kim Eung-hwan, who was influenced by Jeong Seon and Sim Sajeong. Based on this, his landscape painting style appears to hav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ainting style within the Gaeseong Kim family and on later generations of court painters.

Ⅰ. 머리말

Ⅱ. 사의산수화(寫意山水畵)

Ⅲ.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