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톨로사-헌트 증후군으로 오인된 해면정맥굴 수막종에 의한 가돌림신경마비

Abducens Nerve Palsy Caused by Cavernous Sinus Meningioma Mimicking Tolosa-Hunt Syndrome

  • 5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22 No.4.jpg

목적: 톨로사-헌트 증후군으로 오인된 해면정맥굴 수막종에 의한 가돌림신경마비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9세 여자가 20일 전 발생한 수평복시로 내원하였다. 원거리에서 10 prism diopters (PD) 내사시와 근거리에서 정위를 보였다. 2달 뒤 갑자기 복시가 악화되었고, 이전에 없던 좌안의 눈 통증, 충혈, 두통이 발생하였다. 안구운동검사에서 25 PD 내사시와 좌안의 -4 가쪽운동장애가 생겼다. 뇌 MRI에서, 좌측 해면정맥굴의 조영 증강과 비대 소견이 관찰되었다. 톨로사-헌트증후군 진단 하, 고용량 스테로이드 정맥주사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 후 환자의 복시와 두통 증상은 빠른 호전을 보였다. 이후 환자의 증상은 스테로이드 용량에 따라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였다. 추적 MRI에서 좌측 해면정맥굴은 이전과 큰 차이가 없었고, 내사시는 45 PD였다. 임상소견과 추적 MRI 소견을 바탕으로 톨로사-헌트증후군보다는 해면정맥굴 수막종으로 판단되었다. 사시 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해면정맥굴 수막종에 의한 가돌림신경마비가 두통을 동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톨로사-헌트증후군과 감별이 어려울 수 있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bducens nerve palsy caused by cavernous sinus meningioma mimicking Tolosa-Hunt syndrome (THS). Case summary: A 59-year-female visited to the ophthalmic department for sudden onset of horizontal diplopia for 20 days. The extraocular examination showed 10 prism diopters (PD) esotropia at distant fixation and ortho at near fixation without definitive abduction limitation. At 2 months of follow-up, she showed the 25 PD left esotropia with abduction limitation of the left eye. The ocular pain and headache were newly develop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ith contrast was performed and revealed the enlargement and enhancement of left cavernous sinus. THS was suspected and high dose steroid treatment was performed. The ocular findings and headache were improved after treatment. These symptoms showed waxing and waning with steroid tapering during follow-up. The follow-up MRI showed no definitive improvement of cavernous sinus lesion compared with previous study. The cavernous sinus meningioma was considered. There was no improvement of ocular motility findings during follow-up and the strabismus surgery was performed. Conclusions: The abducens nerve palsy with headache can occur caused by cavernous sinus meningioma. It may be difficult to differentiate it from THS in certain cases.

증 례

고 찰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