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자포니카 3품종, 인디카 2품종, 통일형 1품종에 대한 아프리카인, 아메리카인, 아시아인의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해 한국인의 선호도와 비교하여수행되었다. 쌀 외관품위 선호도에서 한국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패널이 쌀이 길고 가는 ‘한열’, ‘향열’, ‘아미쌀’을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은 쌀 너비가 긴 ‘신동진’, ‘드래향’ 등을 선호하였다. 해외 패널들은 쌀 외관품위선호도가 높은 쌀을 식미관능평가에서도 선호하는 경향이있었다. 특히, 해외 패널과 한국인 모두 장립종 품종 ‘한열’ 의 외관품위와 식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반면에 국내육성 품종 중 ‘아미쌀’과 ‘신동진’은 해외 패널들 사이에서외관 선호도는 높았지만, 식미관능평가에서는 ‘한열’보다모양, 찰기, 맛 등에서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육성 쌀을 해외로 수출할 때 식미 특성에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식미선호도 및 미질형질 간 연관분석하여 도출된 패널들이 선호하는 식미 특성을 정리하면, 아프리카인은 질감은 부드럽고, 찰기가 없는장립종 세장형 쌀을 선호하였다. 아메리카인은 질감이 약간단단하며, 약간 찰기가 있고 노화가 늦게 되는 쌀을 선호하였다. 아시아인은 질감은 부드럽고, 찰기가 약간 낮은 장립종 세장형 쌀을 선호하였다. 한국인은 윤기가 있고, 질감은약간 단단하고 노화가 늦고 찰기가 있는 쌀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외 진출 및 수출용 품종 개발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며, 국내육성 벼 품종의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preferences of African, American, and Asian panels, in comparison to a Korean panel, for various Korean rice varieties, including three japonica, two indica, and one Tongil-type, all develop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Korea. Regarding rice appearance, most panelists, except for the Koreans, favored long and slender rice varieties like ‘Hanyeol’, ‘Hyangyeol’, and ‘Amissal’. In contrast, the Koreans preferred wider varieties like ‘Sindongjin’ and ‘Deuraehyang’. Notably, the overseas panelists consistently favored rice varieties with high appearance quality in sensory evaluations of cooked rice. Both overseas and Korean panelists strongly preferred the indica rice variety ‘Hanyeol’ in terms of appearance quality and sensory evaluations. However, Korean rice varieties like ‘Amissal’ and ‘Sindongjin’ scored high in appearance quality with overseas panelists but received low ratings in sensory aspects, including shape, stickiness, and taste, compared to those for ‘Hanyeol’. This suggests that considering sensory characteristics is important when exporting Korean rice varieties. Regarding taste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the panelists derived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aste traits, Africans preferred rice with a smooth texture and no stickiness, especially favoring long-grain rice. Americans leaned towards rice with a slightly firm texture, some stickiness, and late aging characteristics. Asians preferred rice with a smooth texture, low stickiness, and long-grain varieties. In contrast, Koreans favored round rice with a glossy appearance, a slightly firm texture, late aging traits, and some stickiness. These research findings can serve as valuabl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ice varieties for overseas markets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markets.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인용문헌(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