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제27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다문화사회의 상호문화성에 대한 전망

Prospects for Interculturality in Multicultural Society: Focusing on Principle of Social Integration

DOI : 10.35184/kshce.2023.27.4.69
  • 134

문명사의 흐름에서 지난 200여 년의 세계사는 서구 문명의 전 지구적인 팽창과 비서구 국가들의 투쟁의 역사라는 족적을 남겼다. 그리고 21세기에 들어 경제·정치·문화적으로 급진적인 세계화의 교차로에서 형성된 한국의 다문화 현상 역시 서구 문명 보편주의의 축에 둘러싸여 작동하고 있다. 이에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한국 사회는 노동 이주민과 결혼 이주민의 유입으로 ‘다문화 실천’과 ‘사회통합’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문화사회로서의 공동체의 성숙을 가로막는 한국의 압축적인 근대화라는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취약점이 있다. 그것은 서구 보편주의의 기반인 시민 사회의 대의정치, 법치주의 즉 합리적인 자유민주주의를 가능케 하는 서구적 사회성이 한국 사회에 충분히 성숙 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세계화적 다문화가 본성적으로 가지고 있는 취약성 때문이다.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 ‘다문화사회’라는 용어는 무엇보다도 국가가 관리하는 이민정책에 기원하며, 국경관리 차원에서 법적 요소가 있기에 국가 주도적인 정치적 내포가 크다. 정확히 서구의 역사에서는 이민자의 위기에 이어 탈 식민지주의의 문제를 안고 창안된 이념이다. 그러나 점점 더 속도가 증가한 세계 경제와 문화 활동의 상호간섭은 초복합적인 사회체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직간접적인 영향 속에서 인구의 이동, 노동의 이동 및 상품과 자본의 흐름은 고도의 정보기술 체계하에서 전 지구적으로 비약적인 속도의 문화적 변용과 갈등을 불러왔다. 따라서 서구 보편주의는 인류 보편적 문명사의 시각에서 볼 때 새로운 문명의 융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세계화의 기계적 배치 속에 있는 한국 다문화사회의 특수성을 살펴보면서 ‘상호문화성’의 이념을 바탕으로 다문화사회의 통합을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문화다양성의 실천은 생명 다양성에 대한 깊은 인식과 함께 인류의 보편적인 문명에 대한 전망을 함축한다는 것도 조명하겠다.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the world history of the past 200 years has left a mark in the history of the global expans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struggles of non-Western countries. And in the 21st century, Korea's multicultural phenomenon, which was formed at the crossroads of radical globalization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culturally, is also operating surrounded by the axis of Western civilization universalism. Accordingly, in the midst of globalization, ‘practice multiculturalism’ and ‘social integration’ have become important tasks in Korean society due to the influx of labor migrants and marriage migrants. However, in reality, there are social and historical weaknesses in Korea's compressed modernization that prevent the community from maturing as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is not only because the Western sociality that enables representative politics of civil society, the basis of Western universalism, and the rule of law, that is, rational liberal democracy, has not fully matured in Korean society, but also because of the inherent vulnerability of globalized multiculturalism. The term ‘multicultural society’, which is used in various senses, has its origins in the immigration policy managed by the state, and has a large state-led political connotation as it has legal elements at the border management level. In Western history, it is an ideology that was created with the problem of post-colonialism following the immigration crisis. However, th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global economy and cultural activities at an ever-increasing pace is forming a super-complex social system. Among thes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the movement of population, movement of labor, and flow of goods and capital have brought about rapid cultural transformation and conflict around the world under the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Therefore, Western universalism requires the fusion of new civiliz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versal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within the mechanical arrangement of globalization and seek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the integration of a multicultural society based on the ideology of 'interculturality'. We will also highlight that the practice of cultural diversity implies a deep awareness of the diversity of life and the prospect for a universal civilization of humanity.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한국의 다문화 현상

Ⅳ.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사회통합정책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