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시정비법 개정이 재개발 사업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재개발 사업기간 영향요인의 기초통계량 분석 결과 법개정 후 사업기간이 증가했으며, 기존주택의 가구수와 세입자비율, 준공주택의 일반분양 및 임대주택비율이 증가했다. 조합설립인가일부터 사업시행인가일까지 소요기간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 결과, 법개정은 사업기간을 증가시키는 영향력이 있으며 조합설립인가시 기준금리가 상승하고 GDP성장률이 높으면 사업기간이 증가한다. 사업시행인가시 기준금리와 GDP성장률이 높고 건설투자가 증가하면 사업기간이 감소하고, 서울지가와 물가지수가 증가하면 증가한다. 법개정을 통해 임대주택 공급을 늘려 공익성을 개선했으며, 도시양극화를 예방하기 위해 사업성이 부족한 지역의 재개발에 행정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rimary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an amendment to the Urban Improvement Act on the duration of redevelopment projects. Basic statistics analysis results reveal an increased redevelopment project period since the amendment, high number of households and tenants of existing houses, and high ratio of general sales and rental of completed houses. Meanwhil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uses the perio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implementation union as a dependent variable, reveal that the amendment increases the project period, and the project period increases if the key interest rate rises and the GDP growth rate is high. With an increased key interest rate, GDP growth rate, and construction investment, the project period decreases. Meanwhile, when the Seoul land price and price index increase, the project period increases. The amendment has improved public interest by increasing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but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redevelopment of unviable areas must be strengthened to prevent urban polariz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