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가상공간(이하 VR)에서의 환경은 기존의 PC 및 스마트폰에 비해 접근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지만, 기존 환경에 비해 더 현실감 있고 무궁한 체험과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VR환경에서 최근 인기있는 AI 기술인 ChatGPT를 활용한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을 연구함으로서 가상 세계에서 더욱 편리하게 일을 처리하도록 돕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VR환경에서의 ChatGPT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은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구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비서 인터페이스 역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R 환경에서 ChatGPT 시스템을 연동하여 편리한 상호작용 방법에 대해 설계함으로서 AI 비서 개발을 위한 이전 연구로 삼는다.
Although the environment in virtual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VR) has the problem of being difficult to access compared to existing PCs and smartphon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realistic and providing endless experiences and functions compared to existing environments. In this VR environmen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help people handle tasks more conveniently in the virtual world by studying interfaces and interactions using ChatGPT, a recently popular AI technology. The ChatGPT interface and interaction in the VR environment are also studied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Through this, users can choose the interface that suits them and the secretary interface can als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optimized for user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design a convenient interaction method by linking the ChatGPT system in a VR environment and use it as a previou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n AI assistant.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Ⅲ. 시스템 설계 및 개발
Ⅳ. 결 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46)
- 기판온도에 의한 AZO 박막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 변화
- 감시정찰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지진동센서 탐지 신호 세기를 이용한 표적 측위 방법
- 복합형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 플랫폼
- CNN-LSTM 기반의 자율주행 기술
- CCN에서 실시간 콘텐츠 인기도 기반 캐시 정책
- CCN 실시간 스트리밍 환경에서 효율적인 중간노드 이동성 관리 기법
- 실시간 비지정 문화재 관리 및 도난 추적 시스템 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디스크 버퍼 관리 정책 분석
- 그래프 분류 기반 특징 선택을 활용한 작물 수확량 예측
- 이산 Wavelet 변환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잡음제거기
- 가상현실 공간에서의 ChatGPT 시스템을 활용한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 실시간 데이터 전송 환경에서의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ROI 이미지 암호 알고리즘
- 산림자원 관리를 위한 항 재밍 기능을 보유한 무인항공기국 추적방법에 관한 연구
- 화장실의 범죄위험도 평가를 위한 행동이론 기반 리스크 노드 판정 알고리즘
- SDN 환경에서 서버 상태를 고려한 단계적 가중치 기반의 부하 분산 기법 연구
- 증강현실 캐릭터 구현을 위한 AI기반 객체인식 연구
- SHAP 분석 기반의 넙치 질병 분류 입력 파라미터 최적화
-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메타버스의 접점
- 웹페이지에서의 상품 데이터 추출을 위한 동적, 정적 크롤링 비교 및 활용
- 근적외선 분광법 기반 비침습식 혈당 수치 추정 알고리즘 연구
- 차세대 이동통신 및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한 위성항법시스템 최신 활용 동향
- 2D 라이다를 이용한 실내 구조 스캐너 개발
- 랜덤 포레스트 기계 학습 방법을 이용한 넙치의 복수 증상 분석
- 특허 출원 현황조사를 통한 안티드론 기술의 국내외 특허 동향 분석
- IoT 기반의 캔/PET병 압착파쇄기 관리시스템 개발
-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물의 수도관 관리 방안 연구
- 초 장단기 통합 태양광 발전량 예측 기법
- 개구 결합 급전 구조를 갖는 이중 선형편파 패치 안테나의 설계 및 제작
- 오일러와 라그랑주 관측방식의 연직 자료 비교
- 1.29 GHz 펄스파로 산출한 대기경계층 고도
- 전력 계통 신뢰도 개선을 위한 대표적인 한류기 유형 및 적용 효과 분석
- SDN 환경에서 실시간 데이터 유입형태를 고려한 효율적인 부하분산 기법 연구
- LXC 환경을 이용한 한국형 합동 전술데이터링크체계의 소프트웨어 모의시험에 관한 연구
- 안전성 강화를 위한 ESP32-CAM을 활용한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에 대한 연구
- 메타버스 기반 시니어 맞춤형 인지 활동 지원 시스템
-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전자 입찰에서의 예정가격 예측
- 정보보안 업무 스트레스의 완화
- 디지털 소외계층인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키오스크 교육시스템
- PNP 모델을 이용한 리튬이온 배터리 잔존 수명 예측
- 고분해능 FMCW LiDAR 센서 구성을 위한 광대역 주파수변조 레이저 개발
- 수중 치료용 고주파 전극 프로브 개발에 관한 연구
- 그로브 제스처 센서를 활용한 모션 및 음성 인식 스마트 미러에 관한 연구
- 두 가지 서로 다른 실내 복도에서 3, 6, 10, 17 GHz의 전파 특성 측정 및 비교 분석
- 지역 중첩 신뢰도가 적용된 샴 네트워크 기반 객체 추적 알고리즘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6호 목차
- 1,550 nm와 23.2 cm 파장의 도플러 측기 관측자료 비교
- 한국, 미국, 중국의 애니메이션 기술의 특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