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전통미술융합연구 2.jpg
학술저널

전통 사찰의 문화유산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Utilization Strategies for Cultural Heritage Content of Traditional Temples: Focused on Gangjin Baekryunsa

DOI : 10.23188/kocoa.2.202312.085
  • 95

2000년을 기점으로 문화유산 활용 기본방안이 마련되면서 문화유산 활용에 대한 개념 강화와 문화유산 콘텐츠의 제작이 활성화되었다. 2019년 찾아온 팬데믹은 공간과 실물이 필요한 문화유산 활용 산업 위축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였으나 오히려 첨단기술을 활용한 AR, VR 등 디지털 콘텐츠로의 혁신적인 전환을 촉진하였다. 불교문화유산을 활용한 콘텐츠도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따라 전통 사찰, 정부, 공공기관, 학교 등이 주도하여 불교문화 콘텐츠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강진 백련사는 유서깊은 전통 사찰로 『만덕사지』를 비롯하여 중수기 및 역사 기록물,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제작된 문화유산이 현전하고 있다. 서지학, 미술사학, 역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강진 백련사에 대해 활발한 연구성과들을 보여주었으나 아쉽게도 고품질의 문화 콘텐츠가 제작되지 못했다. 현재 국내 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문화유산 콘텐츠가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부에서 중장기 개발 계획과 문제점들을 보완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강진 백련사에서 이러한 현상을 보이는 원인에 대해서 현재 제작된 콘텐츠와 함께 보완 사항들을 분석해 보았다. 강진 백련사는 활발한 연구성과에 비하여 불교문화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문화원형 요소 데이터베이스 접근성이 떨어지고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함을 진단하였다. 또한 장기적인 기획이 부재하고 각 콘텐츠 제작부터 정부, 공공기관 등과의 정책 연결성이 떨어지고 있음을 확인된다. 이는 강진 백련사와 관련된 콘텐츠의 양적, 질적 증가에 대한 큰 장애물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강진 백련사의 지리적 약점을 보완하고 문화원형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내실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불교문화유산을 활용한 장기적인 콘텐츠 기획과 사람들을 끌어모을 수 있는 이벤트들을 적극 시도해야 문화유산의 가치를 더욱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year 2000,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Plan for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has been strengthened and cultural heritage content has been activated. Although the COVID-19 pandemic in 2019 was expected to impact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industry, which requires space and physical elements, it instead promoted an innovative transition to digital content such as AR and VR through the use of advanced technology. Buddhist cultural heritage content is also facing a new turning point led by traditional temples, the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and schools, following this trend of change. Gangjin Baekryunsa, one of the top temples in Korea, houses historical records and Buddhist cultural heritage produced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including “History of Mandeoksa Temple”. Although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bibliography, art history, and history have shown active research results on Gangjin Baekryunsa, high-quality digital content has not been produced. Despite the development of Korea's content industry, various attempts at cultural heritage content, and the government's efforts to establish mid-to-long term development plans and rectify problems, the lack of high-quality digital content at Gangjin Baekryunsa remains. This issue was analyzed by examining the currently produced content. It was diagnosed that Gangjin Baekryunsa, despite its active research results, has low accessibility to the database of cultural prototype elements needed to produce Buddhist cultural heritage content and lacks continuous managemen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is a lack of long-term planning and a weak connection with content production,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his acts as a major obstacle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crease of content related to Gangjin Baekryunsa. In order to overcome the geographical disadvantages of Gangjin Baekryunsa and maximize the strengths of cultural prototyp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value of digital cultural content. In addition, active attempts at long-term content planning using Buddhist cultural heritage and events that can attract people must be made to further promote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Ⅰ. 머리말

Ⅱ. 한국 문화콘텐츠와 불교문화콘텐츠의 현재

Ⅲ. 강진 백련사의 불교문화유산 콘텐츠 활용 현황과 진단

Ⅳ. 강진 백련사 불교문화유산의 디지털 콘텐츠화 및 브랜드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