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메스 아트 컬래버레이션 쇼윈도 디스플레이 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Hermès Art Collaboration Show Window Display: Focusing on comparing between East and West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예술· 디자인학연구
- Vol.26 No.2
-
2023.12109 - 121 (13 pages)
-
DOI : 10.59386/jadr.2023.26.2.109
- 54

본 연구의 목적은 럭셔리 패션 브랜드 에르메스 아트 컬래버레이션 한 쇼윈도 디스플레이의 구성 요소, 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고 동시에 에르메스가 다양한 배경의 아티스트와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어떻게 글로벌 다양한 시장에서 브랜드 문화 이념과 미적 가치를 전달할 수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사례 분석은 2021년 이후 세계 메종 에르메스 매장 주로 분석하여 동서양 시장의 아트 컬래버레이션 방식과 시각적 표현의 차이를 밝혀냈다. 그 결과 동양 시장의 아트 컬래버레이션은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서양 시장은 보다 국제화 아트 컬래버레이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두 지역은 스타 일이 다르지만 희소성, 독특성 및 심미성을 강조한다. 또한, 동양 시장은 에르메스 아트 컬래버레이션 쇼윈도 디스플레이의 상징성과 상호작용성을 더욱 강조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아트 마케팅 전략에서 럭셔리 브랜드의 새로운 추세를 드러냈을 뿐만 아니라, 미래의 시장 발전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stituent element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luxury fashion brand Hermès' show window display in collaboration with artists using theoretical exploration and case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 primarily analyzes globally representative Hermès window display cases in major cities after 2021, revealing differences in artistic collaboration and visual representation between Eastern and Western markets. The results show that collaborations in the Eastern market tend to reflect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while the Western market focuses more on internationalized artistic collaborations. Despite stylistic differences, both emphasize the presentation of scarcity, uniqueness, and aesthetics. Additionally, the study finds that the Eastern market places a stronger emphasis on the symbolic and interactive aspects of Hermès' artistic collaboration window displays. This research not only unveils new trends in luxury brand art marketing strategies but also provides an important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future market developments.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에르메스 아트 컬래버레이션 쇼윈도 디스플레이 사례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