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사회융합연구 제7권 제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메타버스로 본 소설의 경계 연구

A Study on the Boundary of Novels in the Metaverse

인간이 가진 삶의 방식은 시대 혹은 상황에 따라 변모를 거듭한다. 소설 창작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가상세계를 만들어 그 과정을 진행시키거나, 혹은 경계와 규칙을 전면으로 거부하기도 한다. 본고는 1990년도부터 2023년까지‘문학 경계(소설 경계)’라는 키워드가 얼마만큼 빈번하게 사용되었는지를 살핀다. 여기에는 빅데이터 분석서비스인 빅카인즈의 도움을 받았다. 먼저 「금오신화」는 주인공이 현실의 장벽에 부딪힐 때마다 당면한 세계를 넘어서기 위해 여러 변화를 꿈꾼다. 작품에서 주인공이 갈망하는 세계는 서로 마주침의 단계에서는 교착형식이, 헤어짐의 단계에서는 회귀형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구운몽」은 꿈이라는 허구적인 세계를 통하여 역사적 사실을 서술한 몽유록이기에 꿈속의 관념을 또 다른 가상의 세계로 그렸다. 여기에는 현실 세계에서 소외된 사대부들의 욕구와 이상이 중심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frequently the keyword ‘literary boundary (novel boundary)’ was used from 1990 to 2023. Here, we received help from Big Kinds, a big data analysis service. 「Geumoh-sinhwa」, whenever the main character encounters a barrier in reality, he dreams of various changes in order to overcome the world at hand. In the work, the world that the protagonist longs for uses a deadlock format in the stage of encounter and a regression form in the stage of separation. 「Guunmong」, By setting the idea of a dream into another virtual world, the desires and ideals of noblemen who were alienated from the real world were expressed. In both novels, virtual space serves as a fantasy space where things can't be done in reality. It is similar to the current metaverse space. The properties are not mutually exclusive. Because they are closely intertwined with each other.

1. 시작하는 글

2. 빅카인즈와 메타버스

3. 아웃사이더와 멀티프레즌스

4. 스토리리빙과 자의식의 구축

5. 마치는 글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