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주택시장과 거시경제변수들 간의 장기적 균형관계 연구

A Study on the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Market and Macroeconomic Variables: Focused on VECM and VAR Models

  • 160
대한부동산학회지 제70호.jpg

본 연구에서는 벡터오차수정모형(VECM)과 벡터자기회귀모형(VAR Model)을 이용해 주택가격과 거시경제변수들 사이의 장기균형관계의 예측력 설명능력을 비교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1987년 1월부터 2023년 7월까지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가격과 주식가격, 유동성, 국민주택채권1종(5년) 수익률, 소득 사이에는 공적분이 1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ECM 모형을 적용하여 장·단기 균형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둘째, VECM 모형을 추정한 결과 주택가격과 주식가격과는 음(-)의 장기적 관계, 유동성과는 양(+) 의 장기적 관계, 국민주택채권1종(5년) 수익률과는 음(-)의 장기적 관계, 소득과는 양(+)의 장기적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는 예상되는 이론적 부호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VECM과 VAR 모형의 예측력 설명능력을 나타내는 RMSE과 Theil’s Inequality Coefficient 값이 VAR 모형보다 VECM 모형 값이 각각 작게 나타나 VECM 모형이 VAR 모형보다 설명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가격과 거시경제변수 사이에 공적분 관계가 존재할 경우 VAR 모형이 아닌 VECM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This paper was empirically conducted to compar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and Vector Autoregressive Model (VAR Model) in predicting the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rice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The analysis period spans from January 1987 to July 2023.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re exists one cointegration relationship among housing prices, stock prices, liquidity, 5-year yield of government housing bonds, and income. Therefore, the VECM model can be applied to analyze the long- and short-term equilibrium relationship. Secondly,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VECM model revealed the presence of the following long-term relationships: a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rices and stock prices,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liquidity, a negative (-) relationship with the 5-year yield of government housing bonds, an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income. This aligns with the expected theoretical signs. Thirdly,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d Theil's Inequality Coefficient, which indicate the predictive and explanatory power of the VECM and VAR models, respectively, showed that the VECM model outperformed the VAR model with smaller values for both metrics. Therefore, when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exists between housing price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VECM model rather than the VAR model for analysi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과 차별성

Ⅲ. 분석모형

Ⅳ. 분석결과

V.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