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자폐성장애연구 제23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서번트 증후군을 지닌 자폐스펙트럼장애인에 대한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Pediatric Psychiatris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Concerning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Savant Syndrome

DOI : 10.33729/kapa.2023.3.1
  • 122

본 연구는 서번트 증후군을 지닌 자폐스펙트럼장애인에 대한 소아청소년정신과 의사들의 진료 경험을 살펴보고 이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향후 서번트 증후군을 지닌 자폐스펙트럼장애인을 위한 지원 방안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ASD 학생 대상 진료경력이 10년 이상인 소아정신과전문의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은 지속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 절차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7개의 핵심주제와 24개의 하위주제, 54개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핵심주제는 1) 의뢰, 2) 진료실에서 만난 서번트 증후군, 스펙트럼, 3) 모두에게 이해가 필요한 개념, 서번트, 4) 강점이자 축복인 서번트 능력, 5) 몰입으로 성장하는 재능, 몰입으로 인한 특별한 어려움, 6) 특별한 재능이 특별한 능력이 되기까지, 7) 지원 방안이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서번트 증후군을 지닌 자폐스펙트럼장애인을 위한 당사자 및 부모를 비롯한 관련 전문가간 협력 방안과 이들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ediatric psychiatrists’ experiences of working with individuals with ASD and savant syndrome. It identifies ways to support such individuals based on these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pediatric psychiatrist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in treating students with ASD.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Seven core themes, 24 subthemes, and 54 thematic units were derived. The key themes that emerged were: 1) referrals; 2) ASD and savant syndrome encountered in the clinic being a spectrum; 3) savant syndrome being a concept that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all; 4) the notion of being savant as indicating that one possess abilities as a strength and a blessing; 5) talent that grows through immersion, or special challenges caused by immersion; 6) the time before special talents become special abilities; and 7) how to support students with ASD or savant syndrome.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 possible ways to cooperate with professionals of various fields to support students with ASD and savant syndrome, and ways to support students with savant syndrome in the future.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