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 놀이성과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목적 본 연구는 유아 창의성을 살펴보는데 있어, 인지적 측면이 아닌 성향적 측면과 동기적 측면을 중심으로 유아 창의성에 영향을미치는 유아 놀이성과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U시에 소재한 5개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215명의 부모 및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 놀이성, 창의성 및 부모양육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유아 창의성, 놀이성 및 부모 양육대고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유아 놀이성과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 창의성과 놀이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그리고 유아 창의성과 통제적 양육태도, 온정적 양육태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창의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유머감각, 인지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온정적 양육태도 순으로 높은 설명력이 나타났다. 결론 유아 창의성의 인지적 특성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유아의 창의적 성향 및 동기 측면을 통해 유아 창의성을 살펴본 것에 의의를가지고 있으며, 유아 놀이성(유머감각, 인지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과 온정적 양육태도가 유아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환경적 영향이 유아 창의성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것을 보여주고 있다.

Objectives The creativity is acknowledged as a vital skill, especially in early childhood. However, most studies focus on cognitive aspects, neglecting early childhood's unique qualities. Thus, there's a need to explore children's creativity by considering their disposition and motivation within their developmental context. Methods The study involved 215 preschool children from five kindergartens in U City. Data analysis involved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children's playfulness, and children's creativity. Additionally,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playfulness on children's creativity, utilizing the SPSS software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creativity, indicating a static relationshi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creativity, such as openness, and controlling parenting attitudes. A positive static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hildren's creativity and playfulness.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and warmth parenting attitudes of children's playfulness influenced motiv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amines children's creativity from dispositional and motivational aspects,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cognitive characteristics. The study concludes that fostering a warm parenting attitude and providing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children's playfulness is crucial for enhancing children's creativit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