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팀 협력 학습에서 무임승차 방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팀 협력 학습에서 무임승차에 대한 교수자들의 고민은 피할 수 없기 때문에 뚜렷한 방안책이 마련되는 것이 시급하다. 현존하는 협력 어플리케이션은 협력 수업 교육용으로 단순히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에서 활동지원을 제시하는 방법이 단순하다는 점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 학습 과정 중에 무임승차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결 전략에 따라 모니터링과 도움 제공을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차 년도 연구를 기반으로 한 설계 원리 도출을 중심으로프로토타입 제작 후 전문가 1차 검토를 통한 의견수렴 및 수정 및 보완, 전문가 2차 검토를 통한 최종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무임승차 방지를 위한 해결책의 한계점인 실시간모니터링을 중점적으로 설계하였으며 본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타당성을 검증한 후 추후 후속 연구에서 실제 어플리케이션 개발 연구의 개발 근거로 사용될 예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totype application for preventing free-riding in team collaborative learning. Given the inevitable concerns among educators about free-riding in team collaborative learning, there is an urgent need for clear countermeasures. Existing collaborative applications for educational purposes have limitations, as they simply provide support for learners' activitie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totype application that can monitor and provide assistance based on resolution strategies to prevent free-riding during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es. To achieve this, the study focused on deriving design principles based on the first-year research and proceeded to prototype development. Initial feedback and modifications were obtained through a first expert review, followed by a second expert review to finalize the application prototype. The study emphasizes the design focus on real-time monitoring, address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olutions for preventing free-riding. After validating the prototype's effectiveness in supporting learners, it is intended to serve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in the development of an actual application in subsequent studi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