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드라마 “더 글로리”(NETFLIX, 2022-2023)를 중심으로 복수서사의 특성과 전략 그리고 의의를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둔다. “더 글로리”는 일반적인 복수서사의 전형을 답습하면서도 그동안 한국 드라마가 보여주지 않았던 새로운 복수서사를 보여준다. “더 글로리”는 문동은이 복수자가 될 수밖에 없는 명백한 이유를 학교라는 신성한 공간에서 벌어진 폭력으로 전제한다. “더 글로리”가 복수의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활용하는 또 다른 전략은 계급과 권력 그리고 종교문제를 사적문제와 연계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더 글로리”는 한 명의 개인이 사적복수를 단행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타락한 계급성과공권력 그리고 종교를 향해 일갈하는 공적복수로 확장된다. “더 글로리”는 무고한 피해자가 경험하는 고통의 실상을 고발하면서도 정의실현의 쾌감과 위안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복수서사의 의의를 구현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strategies, and significance of the Revenge Narrative, focusing on the drama “The Glory”(NETFLIX, 2022-2023). “The Glory” follows the typical pattern of a general revenge narrative while showing a new revenge narrative that Korean dramas have not shown before. “The Glory” presupposes that Moon Dongeun is forced to become an avenger because of the violence that took place in the sacred space of the school Another strategy that “The Glory” employs to give plurality legitimacy is to link issues of class, power, and religion to private issues. As a result, “The Glory” is not a story of a single individual committing a private vendetta, but a story of public revenge against corrupt class, public power, and religion. “The Glory” embodies the significance of the revenge narrative in that it denounces the reality of the suffering experienced by innocent victims while providing the pleasure and comfort of justice.
1. 서론
2. 복수의 전제: 사적 경험의 전략적 공분화
3. 복수의 완성: 설계된 응징과 영광의 회복
4.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