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이중언어학.JPG
KCI등재 학술저널

재미동포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연구

A Study of Parental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Korean American Child -Focusing on the correlation of percep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language, the social influence’

DOI : 10.17296/korbil.2023..94.187
  • 37

본고에서는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재미동포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인식 범주를 ‘교육적, 언어, 언어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관점’으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육적 관점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언어에 대한 관점에서는 <한국어 및 영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언어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관점에서는 <한국어 및 영어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및 영어에 대한 인식>은 학부모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한국어 및 영어에 대한 사회적 영향력>은 직접적으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한국어 및 영어에 대한 인식>과 관련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American parents’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ir perceptions of Korean and English,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ocial influence of these two languages. A total of 56 Korean American parent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veal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home is more important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stitutions. In terms of perceptions of Korean and English, parents tended to perceive Korean as a tool for identity maintenance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grandparents, and in terms of social influence of Korean and English, parents perceived that Korean has different social influence than English.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tween each perception category showed that perceptions of Korean and English influenced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perceptions of Korean as a heritage language were related to Korean learning environment and perception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were related to social influence of Korean is lower than English.

1. 서론

2.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