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 목적 : 청소년의 문제는 사회의 책임을 넘어 교회의 책임이기도 하다. 청소년의 영성을 향상시키고 관리하는 기독교 집중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는 기획과 운영, 교회 및 가정과의 연계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정성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이에 반해 청소년 영성 변화에 관한 정량적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기독교의 신앙의 핵심인 회심과 성화가 영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 연구는 더욱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회심과 성화를 중심으로 한 집중 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영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회심과 성화, 영성의 주요 개념을 살피고 회심 및 성화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로 ‘A’캠프의 교육목표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캠프의 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 영성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2023년 여름에 진행한 캠프에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 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는 이은철과 김민정이 개발한 영성수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1일차와 3일차에 사전사후 검사를 각각 실시 한후 최종 109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하나님과의 관계 t=-9.65, 전통적 신앙심 t=-6.22, 영성의 영향 t=-6.35, 종교활동 t=-8.32, 초월적인 힘의 경험 t=-8.67, 바르게 사는 것 t=-8.04으로 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 결과에서 회심과 성화에 집중 했을 때, 청소년들의 영성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특히 청소년들이 하나님을 체험하고, 성령의 임재를 통해서 바르게 살고자 다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를 기반으로 통해 청소년을 위한 집중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을 논할 수 있을 것이다. 특별히 캠프를 통한 집중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은 매우 큰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how an intensive Christian program focused on conversion and sanctification impacts youth spirituality. While previous research was qualitative, looking at program design and family-church ties, this research provides a neede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program’s effect on youths' spiritual development. Research content and method: The research, centering on 'A' Camp's focus on conversion and sanctification, used a pre-post test model with Lee and Kim's metrics to gauge youth spirituality. Conducted in a 2023 summer camp, assessments on days one and three yielded 109 valid questionnaires, analyzed via paired t-tes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lationship with God t=-9.65, traditional faith t=-6.22, influence of spirituality t=-6.35, religious activity t=-8.32, experience of transcendent power t=-8.67, living righteously t=-8.04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areas.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The study confirmed that programs emphasizing conversion and sanctification markedly improve youth spirituality, notably enhancing experiences of God and righteous living via the Holy Spirit. These findings are pivotal for guiding future youth education programs, especially those conducted in camp setting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2)
- 메타버스시대의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위한 연구
- 회심 및 성화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영성에 미치는 영향
- 선교사 자녀의 TCK(Third Culture Kids)로서의 민족정체성 겪음에 대한 본질 탐색
- 기독교교육의 오래된 미래: 샬롬을 위한 교육
- 감각, 예전, 이야기가 어린이영성과 만날 때
- 노년기 신앙교육을 위한 자전적 글쓰기
- MZ 세대 선교지로서의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가능성 탐색 연구
- 텃밭 가꾸기에서 나타나는 유아 놀이 탐구
- 종교 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 교양교육 연구
- 대학수업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교육 설계
-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구현을 위한 전공교육체제 개발 연구
- 한국교회 교회교육의 위기와 기독교교육 전문가의 필요성
추천 논문
-
천정웅 글로벌청소년학회 글로벌청소년학연구 제1권 제1호 2011.06
-
청소년을 위한 영성 척도의 개발KCI등재이은철(Eun Chul Lee), 김민정(Minjeong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열린교육연구 제18집 제3호 2010.08
-
청소년 영성 임파워먼트의 철학적 토대선택없음박소정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영성과 보건복지 영성과 사회복지 제2권 제2호 2014.11
-
채유경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권 제1호 2005.01
-
이해령(Hae-Yeong Lee), 백지숙(Jee-Sook Baik) 한국청소년상담학회 청소년상담학회지 제5권 제1호 202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