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미술교육논총 第37券 4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동제작 관점으로 본 어린이 미술관 전시연구

A study of children's art museum exhibits from a co-creation perspective

  • 80

이 연구는 어린이 미술 전시를 참여적 미술관의 공동제작 관점에서 분석하여 어린이미술관에서의 공동제작을 촉진하기 위한 기반을 제시한다. 연구는 참여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참여적 박물관의 공동제작 모형을 살펴보았으며, 세 가지 전시 사례를 통해 어린이 미술관에서의 공동제작 가능성을 조명한다. 경기도 미술관의 <5만의 창>, 서울 시립 북서울 어린이 미술관의 <서도호와 아이들: 아트랜드>, 부산시립 어린이 미술관의 <많은 사람들> 전시를 참여적 미술관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어린이와의 공동제작을 위해 다양한 제언을 제시한다. 참여자를 이해한 전시 설계, 어린이 친화적 주제와 소재의 활용, 작가, 미술관, 작품과 소통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가족 관람객을 위한 어린이 미술관 운영, 그리고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사고의 습관화 등이 있다. 이 연구는 어린이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측면에서 전시를 분석하고 제언함으로써 공동제작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This study analyzes children's art exhibi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o-creation in participatory museums to lay the groundwork for future co-creation practices in children's museums. This study examines the debate on participation in art museums and focuses on the co-creation model of participatory museums to lead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o-creation model, participation in the creation of works to be exhibited is viewed as participatory art, and a perspective on co-creation in children's museums is presented. We analyze three exhibitions that emphasized collaboration, communi- cation, and participation: Gyeonggi Museum of Art <50,000 Windows, Future Walls>, Seoul Children's Museum of North Seoul <Seodoho and Children: Artland>, and Busan Children's Museum, <Many People>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creation in children's museu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co-creation. As a result, we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practicing co-creation with children. First, designing exhibition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second, using child-friendly themes and materials and approaching play, third, running ongoing educational programs to communicate with artists, museums, and artworks, fourth, operating children's museums for all family members, and fifth, changing to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habitualization of think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the exhib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creation, which leads to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and identified factors that enable co-creation.

Ⅰ. 서론

Ⅱ. 미술관에서의 참여

Ⅲ. 어린이 미술관 공동제작 관점으로 본 전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