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47634.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혼 여성 관리자의 일-가정 전이와 가정-일 전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 역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혼 여성 관리자, 일-가정 및 가정-일 전이, 삶의 만족도, 배우자 양육 참여, 남성 육아휴직

본 연구는 기혼 여성 관리자를 대상으로 일-가정 전이와 가정-일 전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 역할(배우자 양육참여, 육아휴직 사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해 여성 관리자패널조사(KWMP) 7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가지 차원의 전이(일-가정 긍정적 전이와 일-가정 부정적 전이, 가정-일 긍정적 전이와 가정-일 부정적 전이)는 기혼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배우자의 양육참 여는 기혼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가정-일 부정적 전이와 배우자 양육참여의 상호작용항은 기혼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한편, 남편의 육아휴직 사용은 기혼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일-가정 긍정적 전이와 남편의 육아휴직 사용의 상호작용항은 기혼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와 부(-)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일과 가정에서 이중부담 을 경험하고 있는 기혼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ork-family and family-work spillover on life satisfaction among female managers with children using the 7th survey of Korea Women Manager Panel Data. In particular, the study explored the role of spouses, such as their engagements in parenting and use of parental leave, in enha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female managers.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work-family and family-work spillover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ife satisfaction of female managers. Spousal engagement in parenting directly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of female managers, whereas the use of parental leave showed no direct effect.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negative family-work spillover, combined with spousal engagement in parenting, has positive relationship to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positive work-family spillover, combined with the use of parental leav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to the life satisfaction of female manager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and policy discussion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female managers experiencing a double burden at work and hom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