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백산학보 第127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강화 정족산성진의 성격과 역사적 가치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Ganghwa Island Jeongjoksanseongjin

DOI : 10.52557/tpsh.2023.127.5
  • 102

이 글은 조선시대 강화도 정족산성 내에 있었던 정족산성진의 설치연대와 성격을 파악하고자 작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 후기 제작된 고지도와 각종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정족산성과 정족산사고, 정족창 등 성 내에 위치했던 시설과 정족산성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진이 위치했다고 전해지는 곳은 산성의 서남쪽, 즉 전등사 적목당 남쪽 구릉으로 지금까지 한 차례의 지표조사(1999)와두 차례의 발굴조사(2008·2009)가 실시되었다. 정족산성의 설치 연대와 성격에 대해 ‘1660년(현종 1) 강화 사고(史庫)를 이곳으로 옮겨올 때 사고 수직(守直)을 위해 설치된 것’이라는 1999년 지표조사 결과가 지금껏 별다른 이견없이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조선 후기 정족산 사고와 함께 두었던 다른 외사고에는 군영이 설치되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별장을 두었다고 해서 군영을 설치했다고 볼 수 없다는 점 등에서 그 근거가 희박하다고 생각된다. 또, 당시 진무영과 12진·보를 중심으로 구축된 강화도 방어체제와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그러나정족산성 주변 갯골이 이미 간척되어 해안 상륙 저지라는 12진·보의 설치 목적과 관련이 적었고, 당시 기록에서 정족산성진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1866년(고종 3) 병인양요당시 정족산성 전투에서 양헌수 부대의 승전에 힘입어 정족산성진이 설치되었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당시 조선 정부는 프랑스 군대를 패퇴시켰던 정족산성의 전략적 가치를 재평가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12진·보 중 하나로 효용성이 떨어진 선두보를 혁파하고, 그 대신 정족산성 내에 정족산성진을 설치했던 것이다. 결국 병인양요 당시 강화부 함락이라는 사건을 경험한 뒤 장기간 농성전을펼치며 후일을 도모할 수 있는 거점을 만들기 위해 정족산성진을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17~18세기 강화도의 관방체제의 핵심이 적병의 강화도 해안상륙을 저지하는 것에 있었다면 19 세기 말 서구열강의 침입을 경험한 뒤로는 적선의 한강 진입을 원천 봉쇄하는 것으로 변해갔다. 그과정에서 유사시 장기간 농성전을 펼치며 적의 배후를 공격할 수 있는 거점을 만들기 위해 설치한군영이 정족산성진이었다.

This paper aims to comprehend the installation date and nature of Jeongjoksanseongjin in Ganghwa Is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To achieve this, various maps and documents produced in the later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focusing on Jeongjoksanseong and facilities within the fortress, such as the Jeongjoksan Royal Archives and Jeongjok Warehouse. The location believed to house the fortress is southwest of the fortress, specifically to the south of Jeondungsa Temple, near Jokmukdang Hill, where one topographic survey (1999) and two excavation surveys (2008, 2009) have been conducted until now. The results of the 1999 topographic survey, stating that Jeongjoksanseong was established in 1660 when the Ganghwa Royal Archives were relocated here for defense, have been widely accepted without much disagreement. However, the grounds are slim in that military camps were not installed in royal archives in other areas that were placed with the royal archives of Jeongjok Mount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at military camps were not installed just because of the villa. Additionally, the examination of the defensive system of Ganghwa Island built around Jinmuyeong and the 12 posts showed little relevance to the purpose of installing the 12 posts defenses, and historical records from that time do not contain information about Jeongjoksanseongjin. Finally, the possibility was explored that Jeongjoksanseongjin was established during the Battle of Jeongjoksanseong in 1866 thanks to the victory of the Yang heonsu unit. At that time, the Joseon government began to reevaluate the strategic value of Jeongjoksanseong, which had repelled the French army. In the process, they abolished the ineffective Seondubo among the 12 posts and instead established Jeongjoksanseongjin within Jeongjoksanseong. Ultimately, it appears that Jeongjoksanseongjin was established after the event of the fall of Ganghwa Island during the Byeonginyangyo in order to create a stronghold for future planning, following a prolonged siege warfare.

Ⅰ. 머리말

Ⅱ. 정족산성의 입지와 명칭 변화

Ⅲ. 강화 사고(史庫)의 이설과 정족산성진

Ⅳ. 17~18세기 강화도 관방체제와 정족산성진의 관계

Ⅴ. 병인양요 정족산성 전투와 정족산성진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