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백산학보 第127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를 받치는 토끼 조형의 맥락과 함의

The Context and Implication of the Rabbit Figure Supporting the Celadon Incense Burner with Openwork Auspicious-character Design Li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ocusing on the Symbolism of the Rabbit and the Atlas Motif

DOI : 10.52557/tpsh.2023.127.211
  • 37

이 글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의 대좌에 조각된 토끼의 상징성을논구했다. 먼저, Ⅱ장에서는 향로의 전체적인 조형을 분석하여, 비록 토끼상이 크기는 작지만, 신체각부가 세밀하게 조각된 입체상으로 조성됐고, 눈 표현에 상감기법이 동원되는 등 단순한 받침 이상의 예술성이 구현된 주요 구성 요소로 다뤄진 점을 지적했다. Ⅲ장에서는 고려 이전의 토끼 조형을검토해 토끼에 대한 인식의 스펙트럼을 살폈다. 토끼는 다산·장수의 상징, 망자의 영혼을 천계로신속하게 데려가는 인도자로서 신라 부장용 항아리에 부착되었고, 월상으로 표현돼 고구려고분벽화·통일신라 와당에서 달을 상징했다. 또한 12⽀神의 일원으로서 통일신라 왕릉에 조각돼 전제왕권을 과시하며 무덤을 外護하거나, 불탑·승탑 등 불교조형물에 장엄돼 약사여래의 12대 誓願을 실현하는 약사여래의 권속을 나타내는 등 다양하게 인식되었음을 파악했다. Ⅳ장에서는 향로를 받치는 세 토끼 조형의 함의를 세 가지 측면에서 도출했다. 첫째, 토끼 本生譚의 燒身供養과 香供養의공통점―자신을 불태워 神에게 바친다―에서 향로에 토끼를 형상화한 의도를 추론했다. 토끼는 소신공양이라는 위대한 利他⾏을 실천한 붓다 전생의 존재이기에, 절대적인 물리력을 상징하는 동물이 아님에도 단독으로 향로의 받침으로 등장할 수 있었다고 보았다. 이러한 토끼를 향로에 조각한데서, 12C 고려인들이 향 공양과 소신공양을 같은 맥락에서 이해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삼국~고려의 史書·地理誌에 토끼가 등장한 사례를 검토해, 불교적 관점 이외에도 토끼가 상서로운 동물로인식되었음을 서술했다. 이와 더불어, 셋째, 상부를 받치는 아틀라스 조형에 투영된 고려문화의 국제성을 다뤘다. 향로의 토끼상은 페르시아, 인도, 중국 등에서 성행했던 동물형 아틀라스 상과 유사한 형태로 배치되었는데, 아틀라스 조형이 실크로드를 통해 퍼져 나간 모티프라는 점에서 이 향로에고려 문화의 국제성이 반영되었다고 이해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symbolism of the rabbit statue on the base of a celadon incense burner with an openwork auspicious-character design li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hapter II analyzes the overall design of the incense burner, pointing out that although the rabbit statue is small in size, it is a three-dimensional figure with detailed carving of each part of the body and inlaid techniques used to express the eyes, making it an important component that embodies artistry beyond a simple base. Chapter III explores the spectrum of perceptions of the rabbit by examining rabbit sculptures from before the Goryeo period. As a symbol of fertility and longevity, thought to be a guide to the quick passage of the souls of the dead to the afterlife, rabbits were attached to funerary urns in the Silla period. They were depicted as moon symbols in Goguryeo tomb paintings and Unified Silla roof-end tiles. In Unified Silla, rabbits were also carved into royal tombs as members of the Twelve Great Deities to show the despotic kingship of the kings guarding the tomb, or were majestically displayed in stupas to represent the authority of Bhaisajyaguru. In Chapter IV, the meaning of the three rabbits supporting the incense burner was derived from three aspects. First, the intention of the rabbit's representation on the incense was inferred from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rabbit's self-sacrifice and the offering of incense in The Jataka Tales of the Rabbit's Original Life (Sasa Jataka), which is to burn oneself and offer it to the gods. Since the rabbit was Buddha in the previous life, the life in which he practiced the great act of selflessness, it is believed that the rabbit was chosen to stand alone on the base of the incense burner, even though it does not symbolize absolute physical power. Through this carving of the rabbit, it can be seen that the 12th-century Goryeo people understood the offering of incense and the act of self-sacrifice in the same context. Second, the appearance of rabbits in historical texts and geographical journals from the Three Kingdoms and Goryeo periods was examined. In doing so, the chapter describes who recognized rabbits as auspicious animals in addition to being a symbol in Buddhism. Third, it discusse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Goryeo culture, which is reflected in the sculpture of the atlas that supports the top. It is interpreted that the incense burner represents the cosmopolitanism of Goryeo culture because the rabbit statue on the incense burner was arranged in a form similar to the atlas statues popular in ancient Greece, Persia, and India and spread along the Silk Road.

Ⅰ. 서론

Ⅱ.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조형의 특징

Ⅲ. 고려 이전의 토끼 조형과 토끼에 대한 인식: 토끼에 대한 인식의 다양성

Ⅳ.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를 받치는 토끼 조형의 함의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