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구석기학보 제48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임진강 유역 후기 구석기에 대한 시론적 연구

A Prelimilery Study on the Upper Paleolithicin the Imjin River Area

DOI : 10.52954/kps.2023.1.48.71
  • 59

임진강 유역에서는 후기 구석기와 관련된 7개소의 주요 유적이 조사되었다. 이들 유적은 용암대지와 하안단구 그리고 산록완사면의 상부에 자리잡고 있다. 토양·퇴적물 분석 결과, 용암대지와 하안단구 상부에 자리한 유적은 하천퇴적 이후 사면퇴적의 유무에 차이를 보이며, 상부층으로 갈수록 안정된 토양화 과정을 겪었다. 후기 구석기 유물은 퇴적층 상부의 (사질)점토성 퇴적물 내에서 확인된다. 한편 산록완사면에 자리잡은 유적은 반복적인 사면퇴적을 지속적으로 받았으며, 유물층 역시 재퇴적의 가능성이 높다. 층위 비교를 통해 보면, 후기 구석기 유물은 지표 아래의 명갈색 점토층, 암갈색 점토층, 적갈색 점토층, 갈색 (사질)점토층에서 출토된다. 적갈색 점토층과 갈색 (사질)점토층은 MIS 3 후반으로 중기 구석기 말기~30,000BP 이전, 암갈색 점토층은 주로 MIS 2 전반으로 20,000BP 이전, 명갈색 점토층은 MIS 2 후반으로 20,000BP 이후에 해당한다. 석기공작은 모든 시기에 걸쳐 석영·규암계 돌감을 주로 활용하였으며, 소형석기가 다수를 차지한다. 다만 MIS 2 전반의 삼거리 2유물층에서는 응회암과 흑요석이 확인되며,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의 출현과 연동된다. 한편 다른 유적에서는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이 확인되지 않는데, 특정 다듬은 석기의 필요 및 돌감의 수급에 따라 다양한 기술적 선택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MIS 3 후반에서 MIS 2 후반으로 갈수록 격지의 크기는 소형화되며, 소형석기는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작아진다. 다만 쐐기의 경우 일정한 크기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석기의 기능과 맞물려 석기의 소형화에서 제외되었다고 판단된다.

In the Imjin River Area, 7 major sites related to the Upper Paleolithic were excavated. The sites are located on the lava plateau, fluvial terrace and on top of the hillslope. The sites related with the lava plateau and fluvial terrace show differences in colluvium after sedimentation of alluvial deposits. And underwent a stable process of soilification towards the upper levels. Many of the Upper Paleolithic artifacts are identified within the upper clay deposits. On the other hand, the site on the hillside was subjected to repeated colluvium, and the artifacts were likely re-deposited. Stratum comparisons of sites indicate that Upper Paleolithic artifacts occur in light brown, dark brown, and reddish brown clay layers and brown sandy clay or clay layers. The reddish brown clay and brown sandy clay or clay layers are the last Middle Paleolithic~30,000BP, the dark brown clay layers are primarily of the first half of MIS 2 : before 20,000BP, and the light brown clay layers are the second half of MIS 2 : after 20,000 BP. Throughout all time stages, quartz and quartzite lithic raw materials are heavily utilized and small stone tools are common. However, tuff and obsidian are identified in second artifact layer of Samgeo-ri site of the first half of MIS 2, which is related with the emergence of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s. In other sites, these lithic technologies are not identified, suggesting that a variety of technological choices were made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shaped tools and the availability of raw materials. From the seond half of MIS 3 to MIS 2, the size of the flakes becomes smaller, and the types of small stone tools become more diverse and smaller. However, PESQ(pièce esquillée) remains constant in size and is looks like excluded from the miniaturization of stone tools because of its function.

Ⅰ. 머리말

Ⅱ. 후기 구석기 관련 주요 유적의 검토

Ⅲ. 지형·지질학적 분석과 유적 형성 시기

Ⅳ. 시기 단계별 석기공작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