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융합코칭저널 제2권 제2호.jpg
학술저널

An Exploratory Reflection and Research Challenges on ‘Convergence Coaching’

An Exploratory Reflection and Research Challenges on ‘Convergence Coaching’

  • 33

본 연구는 ‘융합 코칭’(Convergence coaching)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몇 가지 사항들을 탐색하고, 향후 추가적인 논의 전개 과정에서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는 연구과제들을 제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융합 코칭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연구자의 현장 코칭 경험을 바탕으로 융합 코칭과 관련된 국내 코칭 시장과 현장의 상황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변화에 따른 고객의 요구 증대, 코칭(학) 자체의 특성상 융합 코칭의 필요성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둘째, 융합 코칭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융합 코칭의 유형을 세 가지(주요 코칭 주제 간 융합, 코칭 진행 형태 및 방법 간의 융합, 코칭과 다른 영역 간의 융합)로 구분했다. 셋째, 향후 추가로 연구해야 할 과제로, 융합 코칭의 작동 기제와 효과성 검증, 융합 코칭의 발생 시기와 대상자 등의 연구과제를 제시했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선제적이고 정교한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즉, 고객 수요 증대에 부응하는 융합 코칭 확대 방안 마련, 융합 코칭과 관련된 학술적 검토 사항들, 예컨대 융합 코칭의 구성 개념, 조작적 정의, 구성요소 발견, 효과성 검증을 위한 척도 개발, 유형구분과 특성 파악 등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융합 코칭의 필요성 강조, 조작적 정의 시도, 융합 코칭의 유형 구분 및 향후 연구과 제를 한국 최초로 제시함으로써 코칭 연구의 확장에 이바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이런 논의는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를 바탕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다. 향후,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추가 작업이 진행된다면, 융합 코칭의 유용성, 다양성과 역동성 등에 관한 새로운 사실이 추가로 밝혀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me of th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before a full-scale discussion on 'convergence coaching' can take place, and to suggest research questions that we believe will be needed to further develop the discussion. To accomplish this goal, I have search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convergence coaching’. Based in part on the researcher's field coaching experience, I examined the domestic coaching market and field conditions related to 'convergence coach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 for 'convergence coaching' continues to grow due to the increasing needs of customers due to social changes and the nature of coaching itself. Second, I operationally defined ‘convergence coaching’ and, based on prior research, categorize three types of ‘convergence coaching’: convergence between key coaching topics, convergence between coaching modalities and methods, and convergence between coaching and other disciplinary. Third, as a future research question, I suggest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ow does convergence coaching work, how effective is it, when does it occur, and for whom? These include: identifying ways to expand convergence coaching to meet growing customer demand; reviewing the academic literature on convergence coaching, including the conceptualization, operationally definition, and identification of components of convergence coaching, development of measures to validate effectiveness, and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ypes of convergence coach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coaching research by emphasizing the need for 'convergence coaching', attempting an operational definition, categorizing types of 'convergence coaching', and presenting future research issu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However, this discussion is limited by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the subjective views of the researcher. In the future, further work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may reveal new facts about the utility, diversity, and dynamics of convergence coaching.

Ⅰ. Introduction

Ⅱ. The need and types of ‘convergence coaching’

Ⅲ. The Future of Convergence Coaching and Research Challenges

Ⅳ. Conclusions and discus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