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삶의 맥락에서 성공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김 원장의 어린이집 원장으로서의 삶을 통해 얻은 통찰을 끌어내며 코칭 질문을 통해 성공의 요건을 이해하는데 중심을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론 중 생애사 연구방법을 사용했으며, 연구에 적합한 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해 3명의 어린이집 원장과 예비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가운데 김 원장 1인을 본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하여 2개월 동안 5회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의 삶에서 가족, 나아가 보육의 역사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삶은 치열했고 여러 가지 일을 책임져야 했으며 지속적인 배움이 있었다. 한편 가정이 소외되는 어려움도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을 지켜주는 정책들, 원장에 대한 처우, 과도한 업무에서 벗어날 수 있는 구조 등 사회적 제도적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어린이집 원장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서의 성공의 의미는 자아성취이며, 끈기와 지속성, 나눔과 사랑, 정직과 진실성, 긍정의 마인드셋이 필요했다. 어린이집 원장으로서 직업적 소명을 가지고 보람과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지원, 교육, 연구 환경,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success in the context of the life of a daycare center director. Specifically, it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requirements for success through coaching questions, drawing insights from Kim's life as a daycare center director.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of life history research was used for this study, and preliminary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three daycare center directors to select appropriate participants for the study. One of them, Ms. Kim, was selected as a participant in this study, and five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over a period of two months. through this, we wanted to expand from the individual to the family and the history of childca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fe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 was intense, with multiple responsibilities, and continuous learning. However, there were also difficulties with the marginalization of families, so social and institutional efforts should be supported, such as policies to protect families, treatment of directors, and structures that relief from overwork. In addition, success as a daycare center director is about self-achievement and require a mindset of grit and perseverance, sharing and love, honesty and integrity, and positivity. There is a need for support, education, research environments, and policies that will enable them to feel rewarded and happy in their professional calling as a daycare center director.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