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코로나 19' 후의 한식에 대한 해외 학술 연구 논문의 동향을 파악하여 실제 코로나로 인해 한식에 어떠한 영향을 받았고 그 영향들로 인해 최근 동향은 어떤지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첫째, TF 분석 결과 건강관리 및 질병 연구 관련 단어의 경우 상위 10위에서 20권 내에 도출되어 코로나 이후 한식의 건강관리 및 질병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2021~2023년 외국인의 한식 연구에 관한 TF-IDF를 실시한 결과, cell(66.0)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group(56.29), effect(56.23), acid(50.12), risk(47.87)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셋째, 2021~2023년 외국인 한식 연구에 대한 N-gram 분석결과, ‘covid→19’이 연결강도(29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fatty→acid(241)’, ‘national→health(216)’, ‘antioxidant→activity(190)’순으로 도출되었다. 전체적으로 건강 및 질병 관련 단어의 노출도와 한식이 건강과 노화 방지 측에서 우수하다는 것이 N-gram으로 증명되었다. 이는 환자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코로나로 인해 한식에 관한 관심이 줄어든 만큼 변화하는 한식의 외식 행태를 파악하고 위험 요인들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한식을 더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라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trends of overseas academic research papers on Korean food after 'COVID-19' to find out how Korean food was actually affected by COVID-19 and changes in recent trends due to those effects. First, as a result of TF analysis, words related to health care and disease research are derived from the top 10 to 20, indicating that research on health care and disease in Korean food after COVID-19 is active.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TF-IDF on foreign Korean food research from 2021 to 2023, cell (66.0)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Third, as a result of N-gram analysis of foreign Korean food research from 2021 to 2023, 'covid→19' was derived the highest with connection strength (298). It can be seen tha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atient treatment. As many people are less interested in Korean food due to COVID-19, we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Korean food by identifying the changing eating behavior of Korean food and preparing measures to minimize risk factor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