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궁문화 제16호.jpg
학술저널

인사동 출토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세 환環의 유물

Three Rings of the Sun-and-stars Time-Determining Instrument Excavated in Insa-dong in Seoul

  • 8

본 연구는 2021년 서울 종로구 공평지구의 15세기~16세기 지층에서 출토된 세종 대의 일성정시의 유물을 조사하였다. 일성정시의는 해시계와 별시계를 하나로 융합한 천문 관측 기기이다. 세종대왕 당시에 4개의 일성정시의가 제작되었는데, 그중 하나가 이번에 발굴된 것이다. 일성정시의는 각도와 시각의 눈금을 가진 세 환이 있는데, 이들 환이 조각난 상태로 수습되었고, 그 중에서 성구백각환과 주천도분환은 완형으로 조립할 수 있었다. 같은 중심을 가진 이들 세 환의 지름과 너비는 문헌의 기록과 비교적 일치하였다. 가운데 끼어 있는 일구백각환은 리벳으로 고정한 흔적이 있었고, 나머지 두 환을 바퀴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주천도분환의 발굴은 특별한 가치가 있다. 현존하는 유물 중에 주천도를 새긴 환이 한 점도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환에 주천도의 눈금을 새기는 방식은 잊혔다. 두 백각환은 시각눈금이 시계 방향으로 새겨졌고, 주천도분환은 각도에 해당하는 주천도 눈금이 역시 시계 방향으로 새겨져 있었다. 시계 방향의 주천도 눈금은 매일 항성시 기준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였다. 모든 눈금은 4층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는데, 최소 단위의 눈금이 환의 바깥 부분이 위치하는 것이 통일되어 있었다. 성구백각환과 주천도분환 유물에는 여의두문如意頭文 형식의 손잡이도 확인되었다. 모든 환의 눈금은 은으로 상감되었다. 이러한 기능 요소는 일성정시의의 관측을 용이하게 한다. 일성정시의 문헌에 따르면, 밤에 정극환을 따라 구진대성이 회전하는 것을 관측하여 이 기기를 바르게 설치하고, 제성의 이동을 측정하여 매일 밤의 시각을 알 수 있었다. 일성정시의 관측 방법은 소일성정시의에도 활용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onents of the sun-and-stars time-determining instrument (il-seong jeongsiui) of King Sejong's era. These artifacts were excavated in 2021 from the stratum dating back to the 15th and 16th centuries in Insa-dong, Jongno-gu, Seoul. The sun-and-stars time-determining instrument is an astronomical instrument that integrates a sundial and a star- dial. This is one of four of these instruments, all of which were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r. 1418-1450). The sun-and-stars time-determining instrument consists of three rings with gradations of the angles and times. These three rings were found fragmented, however, of the three, the star-dial hundred-interval ring and the celestial-circumference degrees-and-fractions ring were able to be fully reconstructed. e diameters and widths of these three concentric rings closely matched the values documented in historical records. Notably, the sundial hundred-interval ring, wedged between the other two, exhibited evidence of rivet-based fixings to ensure the stable support of the other two rings. e retrieval of the celestial-circumference degrees-and-fractions ring is particularly significant, given that no extant rings are engraved with celestial-circumference degrees. The method of inscribing these degrees on a ring had largely been forgotten until this discovery. Both hundred-interval rings feature time scales engraved in a clockwise manner, and the scale for celestial-circumference degrees, corresponding to angles, is similarly carved in a clockwise direction on the celestial-circumference degrees-and-fractions ring. This clockwise orientation of the celestial-circumference degrees aligns with the daily movement of the sidereal time reference. The gradation of the smallest unit among the four layers on the lateral face on all rings consistently appears on the outer section of the rings. Furthermore, both the star-dial hundred-interval ring and the celestial-circumference degrees-and-fractions ring display identical knobs in the shape of the head of Anaruddha. All rings have their gradations inlaid with silver, providing functional elements that enhance the measurement of celestial objects using the sun-and-stars time-determin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literature on this instrument, it was correctly set up by observing the diurnal rotation of the Angular Arranger (α Umi) in the polar-sighting ring at nighttime, and time was measured by monitoring the movement of the Imperial Star (β Umi). The observation method of the sun-and-stars time-determining instrument was also applied to the simplified version of the instrument.

Ⅰ. 머리말

Ⅱ. 일성정시의 유물

Ⅲ. 일성정시의 구조의 비교 분석

Ⅳ. 일성정시의 용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