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과 내용을 소개하는 두 번째 편이다. 첫 번째 편에서 다루지 못한 순종 대 이후의 왕실발기와 연대 미상의 왕실발기 20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긔미윤칠월십뉵 됴셕 샹식ᄇᆞᆯ긔【이십일디】(고궁2419-1)>와 <긔미십월 효덕뎐 망다례 단ᄌᆞ(고궁2419-2)> 2점은 1919년에서 고종高宗, 재위 1863~1907과 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의 다례에 올려진 음식 목록을 적은 다례발기와 상식발기이다. 1919년 다례발기와 상식발기 중 기존에 그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던 자료들이다. 따라서 <고궁2419> 두 점의 존재는 고종과 명성황후의 다례 관련 왕실발기가 온전한 자료로써의 가치를 인정받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의ᄃᆡ목록(궁중346)>과 <반상목록(궁중347)>은 1932년에 진행되었던 영친왕英親王, 1897~1970의 둘째 아들 이구李玖, 1931~2008의 돌잔치 때 작성된 복식발기와 기명발기이다.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 가장 후대에 작성된 것으로, 왕실발기가 1932년까지도 제작되었음을 실증해 주는 자료이다. 또 표지를 붉은색 바탕에 연꽃 무늬 비단으로 만들어 매우 화려한데,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 이와 같이 제작된 예가 없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례단자(고궁2227-2)>와 <다례단자(고궁2227-3)>는 그간 ‘연대 미상’으로 알려져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례단자(고궁2227-2)>는 1896년(고종 33) 7월 27일 명성황후의 다례와 관련하여 진설된 음식을 기록한 것이며, <병신칠월이십칠일 셩빈 별다례 ᄇᆞᆯ긔(장서각1381)>과 내용이 동일한 자료임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다례단자(고궁2227-2)>이 <병신칠월이십칠일 셩빈 별다례 ᄇᆞᆯ긔(장서각1381)>의 수정사항을 모두 반영하여 정서한 최종본임이 확인되었다. <다례단자(고궁2227-3)>도 본 연구에서 1905년(광무 9) 8월 19일에 명성황후의 다례 때 제작된 <을팔월십구일 긔신 홍능 다례 ᄇᆞᆯ긔(1366)>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자료로 추정되었다. 이상에서 두 번에 걸쳐 살펴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는 총 32점이 전한다. 32점 중 한글본이 28점, 한자본이 4점으로 한글본이 압도적으로 많고, 시기상으로는 고종 대의 왕실발기가 9점으로 가장 많은데 이는 모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보유하고 있는 왕실발기와 동일한 양상이다. 현재 전하는 왕실발기 중 가장 시기가 앞선 1732년(영조 8) 영조 때 왕실발기와 시기가 가장 늦은 1932년 왕실발기가 모두 국립고궁박물관에 전하고 있다. 이중 기명발기가 4점 전하는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왕실발기 950여건 중 기명발기는 40여 점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기명발기 4점은 기명발기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constitutes the second segment, providing an introduction to the present condition and contents of the Wangsil Balgi(王室 발기[件記], list of royal items) archived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n this second part, an examination has been conducted on the royal item lists following the reign of Emperor Sunjong (r. 1907-1910) and 20 undated lists that were not covered in the first installment. Amongst the royal item lists written during and after Emperor Sunjong’s reign, a list labelled as Gogung2419 records the food served at a tea ceremony conducted for Emperor Gojong and Empress Sunjong in 1919. In the lists pertaining to 1919, a noticeable absence is found specically in the entries of the month of October, and Gogung2419 corresponds to that missing section. Therefore, the presence of Gogung2419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the Wangsil Balgi related to the tea ceremony for Emperor Gojong and Empress Myeongseong, as it serves as a complete and integral source of information. Gungjung 346 and Gungjung 347 are Boksik Balgi(服飾件記,list of attire) and Gimyoeng Balgi (器皿件記, a list of tableware) made in 1932 for the rst birthday banquet for Yi Gu (1931-2005), the second son of Imperial Prince Yeong (1897-1970). As one of the most recently documented royal item lists, it serves as tangible evidence that such records were still being produced until 1932. Additionally, the cover, made of vivid red silk adorned with lotus ower patterns, is exceptionally ornate. Among the extant royal records, there is a notable absence of examples featuring such elaborate craftsmanship, making it particularly noteworthy. Gogung2227-2 and Gogung2227-3 have been known as “date unknown”. 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Gogung2227-2 records the food served at Empress Myeongseong's tea ceremony on July 27, 1896, and has the same content as Jangseogak1381.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ogung2227-2 is the final version that reflected all the revisions of Jangseogak1381. Gogung2227-3 is also presumed to be closely related to Jangseogak1366, which was issued for the Empress Myeongseong's tea ceremony on August 19, 1905.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houses a total of thirty two pieces of Wangsil Balgi. Of all the pieces, twenty eight are in Korean and four in Chinese. e number of Korean versions is overwhelmingly large. In terms of its production timing, the largest number of Wangsil Balgi were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Emperor) Gojong, with a total of 9. Among the Wangsil Balgi stored in the Jangseogak Archive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re are also more Korean versions than Chinese ones, and the most numerous are those written during the reign of King (Emperor) Gojong. Currently, both the earliest of the Wangsil Balgi, written in 1732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r. 1724-1776) and the latest issued in 1932, are 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Four out of thirty-two Wangsil Balgi stor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re Gimyeong Balgi. Considering that there are only forty Gimyeong Balgi out of nine hundred fifty Wangsil Balgi in the Jangseokgak Archive’s collection, the four Gimyeong Balgi in the NPMK’s collection are of important value for conducting overall research on Gimyeong Balgi.
Ⅰ. 머리말
Ⅱ. 순종 대 이후 왕실발기
Ⅲ. 연대 미상의 왕실발기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