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에도 시대 우키요에(浮世絵)에 재현된 여성 차노유 이미지를 분석하고 당시 여성 차노유가 가졌던 사회 문화적인 함의에 대해 고찰한다. 사교적 모임으로서의 성격이 강했던 남성들의 차노유가 차와 담소를 나누는 다회 구성원들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어 묘사되었다면 우키요에 작품 속에서 여성의 차노유는 홀로 다테마에 중인 여성과 여성이 사용하는 다도구의 모습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그려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차이가 여성과 남성의 차노유에 대한 서로 다른 사회적 인식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에도 시대 여성 교육서인 여훈서는 여성 차노유에 대한 대중적 담론의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18세기 여훈서에는 차노유를 배우고 익히는 것이 여성으로서 필요한 기본 소양을 갖추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제시된다. 본 논문은 우키요에로 재현된 여성의 차노유 모습이 여훈서가 견지했던 여성 차노유에 대한 시대적 인식의 반영이었음을 논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images of women’s tea practice (chanoyu) found in Edo-period woodblock prints such as ukiyo-e and educational books, with a focus on its social and cultural meaning. As a social gathering men’s tea practice is often represented with an emphasis on the scene in which guests come together, drink tea, and socialize. Scenes of women’s tea practice in ukiyo-e prints, on the other hand, mostly depict the image of a woman who is making tea (temae) by herself and highlight her tea utensils. This paper maintains that such variation originates from different social expectation towards tea practices of men and women. It was educational books for women (jokunsho), in particular,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discourses on women and their tea practice in the Edo period. Jokunsho presented that by learning temae procedures for chanoyu women were able to acquire manner and etiquette, which were necessary in cultivating genteel femininity. This essay argues that women’s temae scenes depicted in ukiyo-e reflect the social awareness of women’s tea practice, which was encouraged by educational books.
Ⅰ. 서 론
Ⅱ. 우키요에에 재현된 여성 차노유
Ⅲ. 남성 차노유와 여성 차노유의 비교
Ⅳ. 여훈서에 보이는 여성의 차노유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