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노 리큐에 의해 완성된 일본 다도는, 메이지유신과 서구화에 따라 큰 위기를 겪는다. 메이지유신 초기, 서양문물을 경외하고, 전통문화를 천시했던 당대의 경향에 따라 다도 역시 오래된 구태의 하나로 취급된다. 이러한 위기는 근대 재벌들을 중심으로 하여 극복된다. 이들은 상인이었던 리큐의 다도를 재발견하여 다도가 일본문화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임을 인정하고, 다도에 대한 학습과 다도구의 수집에 열을 올렸다. 결국 다도는 다시금 근대 일본의 교양으로 확고하게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메이지시대 근대 다도의 변화상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대정명기감(大正名器鑑)』이다. 이 책은 미쓰이 물산의 경영자인 타카하시 요시오(高橋義雄)가 편찬한 것으로, 차이레와 다완을 정리한 일본 최초의 근대식 도록이다. 이 책은 모두 저자가 실견한 다도구의 사진을 수록하고, 그 전거 문헌을 살펴 기록해, 근대 일본 다도구학의 기준을 세웠다. 메이지유신 이후의 혼란기에 흩어진 명물 다도구의 근대 상황을 보여준다. 많은 구 다이묘들의 소장품은 일부 건재하지만, 많은 부분은 근대적 기업인들에게 이전되었다. 이는 과거 무사를 중심으로 하는 무가 다도에서, 재벌들이 익힌 마치슈다도로 다도의 중심이 이동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더 많은 재계 인사들이 다도에 뛰어들 것을 예언하고 있다.
The tea ceremony of Japan faces a major crisis following the Meiji Restoration and Westernization. In the early Meiji Restoration period, tea ceremony was treated as one of the old ways because of the contemporary tendency to worship Western culture and disregard traditional culture. Such a crisis will be overcome mainly by modern conglomerates. They recognized that Japanese tea ceremony was an important element of Japanese culture and became enthusiastic about learning about tea ceremony and collecting tea utensils. “TaishoMeikan” shows the changes of modern tea ceremony in the Meiji period. This book is Japan's first modern pictorial book to be discovered by Takahashi Yoshio, one of the managers of the modern Mitsui zaibatsu. This book is the same as the standard for modern Japanese tea tools. It shows the modern situation of famous tea utensils scattered during the chaotic period after the Meiji Restoration. Some of the collections of many former daimyo are still alive, but many have been transferred to modern entrepreneurs. This means that the center of tea ceremony has shifted from samurai-centered tea ceremony in the past to town tea ceremony acquired by zaibatsu.
Ⅰ. 서론
Ⅱ. 메이지유신 전후 다도의 위기와 부흥
Ⅲ. 『대정명기감』의 편찬 경위와 내용
Ⅳ. 『대정명기감』기재 소장자의 분류와 특징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