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차문화산업학 제62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MZ세대 여성의 차생활과 웰니스 간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 Life and Wellness of Generation MZ Women

  • 73

본 연구는 MZ세대 여성들의 차생활 행동 양상을 파악하고 차생활과 웰니스 간 연관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하에 차생활 경험이 6개월 이상인 20~30대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조사를 시행하고 MEASC 모델에 의거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Z세대 여성들의 차생활 동기(M)는 심신의 건강을 위해, 가족의 권유로 혹은 대학에서의 교육을 통해 유발되었다. 둘째, 차생활의 정보 탐색(E)은 온라인(예: 유튜브/인스타그램/블로그), 오프라인(예: 지인추천/동아리활동/독서/팝업스토어·박람회방문) 그리고 온/오프라인(예: SNS와 팝업스토어) 등 다양한 경로로 이루어졌다. 셋째, 차생활의 음용 행동(A)은 가정이나 직장에서 개인이 혼자 이행하는 것 외에도 가족 구성원이나 학교 동아리 부원들과 함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Z세대 여성들 간 공동의 음용은 자연스럽게 차생활의 경험 공유(S)로도 이어졌다. 넷째, MZ세대 여성들은 차생활이 자신에게 주는 웰니스를 확인(C)하고 자기 피드백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tea life behavior patterns of MZ generation wome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 life and wellness. For this purpose,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0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experienced tea life for more than 6 months, an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EASC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of MZ generation women's tea life was induced for the health of mind and body, through the recommendation of family, or through education at university. Second, the exploration of tea life information consisted of various channels such as online (e.g., YouTube/Instagram/blog), offline (e.g., acquaintance recommendation/club activity/reading/pop-up store/expo visit), and online/offline (e.g., SNS and pop-up store). Third, tea drinking action was not only practiced by individuals at home or at work, but also with family members and school club members. In addition, communal drinking among MZ generation women naturally led to the sharing of tea drinking experiences. Fourth, MZ generation women confirmed the wellness that tea life brings to them and provided self-feedback.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