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불교학연구 제77호.jpg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이미지, 광명, 시간

Image, Luminosity, and Time: Focusing on Understanding Reality from Dol po pa Shes rab rgyal mtshan’s Prayer Called the General Commentary on the [Kālacakratantra] Teachings (Bstan pa spyi 'grel zhes bya ba'i gsol 'debs)

DOI : 10.21482/jbs.77..202312.123
  • 4

조낭빠(Jo nang pa) 학자 돌뽀빠 쉐랍겔첸(Dol po pa Shes rab rgyal mtshan, 1292-1361)은『가르침에 대한 일반 주석이라고 하는 기원(祈願)』(Bstan pa spyi 'grel zhes bya ba'i gsol 'debs)이라는 그의 대표 저술에서 깔라짜끄라딴뜨라(Kālacakratantra)에 기반한 타공(gzhan stong)이라는 실재 이해를 제시한다. 실재는 그 자체는 공하지 않으나, 다른 비본질적인 것들을 결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공하다는 해석인 타공은 돌뽀빠의 경우 깔라짜끄라딴뜨라 육지요가 수행을 통한 공이라는 이미지(stong gzugs)에의 접근과 활용(tapping into)을 초월-내재적 실재인 공성(stong pa nyid)의 증득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타공은 체화된 마음과 세계의 상호작용이 창출하는 시간성과 구원론을 구조로 가지는 딴뜨라 수행 문맥을 가지며, 심신문제와 비표상적 인지, 초월-내재적 시간성 등의 이슈들을 주제화한다. 요가 수행자의 몸과 세계의 상호작용, 해당 수행자의 변형적 경험을 통해 우주라는 전일적 차원에서 우주적 시간과 천체-영적인 마음(astral mind)의 연합 관계를 제시하는 이러한 돌뽀빠의 수행 기반의 타공은 종교적·철학적 체계들의 경계를 가로지르면서 그 근원적 지점들의 동치성을 상정(postulation)하며, 딴뜨라의 수뜨라와의 관계 설정에서 딴뜨라 본위적인 수뜨라에 대한 수직적·위계적 통합의 해석학을 제시한다. 공성을 궁극적으로는 여래장(de gshegs snying po)과 동일시함으로써, 딴뜨라 내에서 여래장을 문맥화하는 돌뽀빠의 이런 실재 해석 방식에서, 공이라는 이미지는 딴뜨라의 실재인 광명('od gsal) 뿐 아니라, 여래장과도 동치로 간주되는 것이다.

Jo nang pa scholar Dol po pa Shes rab rgyal mtshan (1292-1361), in his major work, Prayer Called the General Commentary on the [Kālacakratantra] Teachings, (Bstan pa spyi 'grel zhes bya ba'i gsol 'debs) presented an understanding of reality, the so-called Kālacakratantra-based other-emptiness (gzhan stong). Other-emptiness is a philosophical system which states that reality is not empty in itself, but is empty in the sense that it lacks other non-essential things. Dol po pa maintained that for a yoga practioner, tapping into empty images (stong gzugs) through the practice of Kālacakratantra six limb yoga has the same meaning as the realization of emptiness (stong pa nyid), a transcendent-immanent reality. This other-emptiness has a context of tantric practice structured by the temporality and soteriology crea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mbodied mind and the world, and it thematizes issues such as mind-body problems, non-representational cognition, transcendent-immanent temporality, etc.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of a yoga practitioner and the world, and the transformational experience of the practitioner, this practice- based other-emptiness of Dol po pa, which presents the union of cosmic time and the astral mind at the holistic level of the cosmos, postulates the equivalence of the fundamental foundations of all things, crossing the boundaries of different religio- philosophical systems and creating a hermeneutics of hierarchical integration of the sūtras into tantra. By connecting an empty image not only with luminosity ('od gsal), the reality in tantra, but also with the Buddha-nature, this way of interpreting reality contextualizes the Buddha-nature within tantra, ultimately identifying emptiness with the Buddha-nature.

Ⅰ. 들어가면서

Ⅱ. 이미지

Ⅲ. 광명

Ⅳ. 시간

Ⅴ. 이포스타시스

Ⅵ. 나오면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