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반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진로·직업교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eneral High Schools

이 연구는 일반고등학교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현상을 재조명하고, 진로·직업교육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일반고등학교 특수학급 운영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주요 자료수집 방법은 면담이며, 직업교육자료, 특수학급 운영계획 등을 추가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구성과 해석은 해석학적 순환을 통한 새로운 질문의 생성, 다시 면담하기 등으로 이어지면서 연구 질문에 대한 인식론적, 존재론적 지평을 넓혀가는 순환적 구조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서열의 밑바닥: 공감할 수 없는 일반고 생태계’, ‘학교 안의 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실존적 이해로 성장하는 특수교사’로 상위범주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 안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특수교사, 학부모, 일반교사가 함께 해결 방법을 모색해서, ‘연대’하고, 학생과 ‘함께 나아가기’를 했을 때, 학생에 대한 교육목적이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더불어, 장애학생의 교육권 회복을 위해서는 특수학급이 재구조화되어야 하며,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에 대한 실존적 이해로 진로·직업교육을 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General high schools continue the academic tradition in South Korea. This phenomenological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eaning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s for nine general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vocational education documents, special classes management plans, literary works, and vocabulary representing the subject. To ensure research integrity, it underwent participant review, peer review, review through the Relational Responsive Community, and IRB review. The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collected data consisted of a circular structure that expanded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horizons of the research question by creating new questions through hermeneutic circulation and conducting interviews again.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the essential themes were ‘Bottom of rank: General high school ecosystem cannot be sympathized with,’ ‘Special classes in schools within schools,’ and ‘Special teachers who grow with an existential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is study results, we discussed disabled students should be able to have valuable experiences that lead to social integration through general high school life, special classes should be restructured, and special teachers should run special classes with an existential understanding of disabled students and the need to grow in self-understanding.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