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전략문제연구소_전략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방개혁의 핵심으로서 육군 군 구조 개편계획에 대한 제언

A proposal for a plan to reorganize the Army's military structure as a key part of defense reform: Re-examination of the Unit and Force Structure Considering Various Change Factors

DOI : 10.46226/jss.2020.11.27.3.123
  • 36

2006년부터 시작된 국방개혁은 병력 위주의 재래식 군 구조로부터 탈피하여 첨단 정보·기술 중심의 군 구조로 전환하는 것을 핵심 중점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군은 부대와 병력을 대폭 감축 및 해체하되 첨단 전력증강을 통해 전투력을 보강함으로써 전투 능력과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따라서 육군 개편은 부대와 병력을 감축하는 주요 대상이었으며, 그 결과는 국방개혁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한 핵심과제라 할 수 있다. 1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지금까지의 추진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계획을 진단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육군의 군 구조 개편계획은 수정과 변경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정되어 왔음은 부인할 수 없다. 현 개편계획은 2022년 말까지 상비병력을 50만 명으로 감축하면서 부대개편은 2026년까지 전력증강은 2030년까지 지속되어야 한다. 북한 현존 군사위협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추진해야 하는 개혁의 성공요소를 고려 시 현 개편계획에 대한 우려가 깊을 수밖에 없다. 한국군은 군 구조 개편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북한 핵・미사일 능력의 고도화에 따른 위협 증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및 연합지휘체계 구축, 전략 환경 및 국방환경의 변화 등 대내외적 주요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을 개연성이 높다.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 안보상황의 위중함을 고려할 때, 대규모 병력과 부대를 감축해야 하는 육군 개편계획은 현실적 괴리감을 최소화하고 실현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육군의 부대 및 병력 구조 개편은 부대편성의 완전성을 높이되 적정 부대 수를 유지하면서 상비병력 규모의 조정을 통해 전력공백을 최소화하면서 전투력 발휘가 가능하도록 개편을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육군은 미래 군사전략 목표와 수행개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현재 사단형 중심 부대구조를 신속성・유연성을 갖춘 여단형 중심 부대구조로의 전환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연계하여 제대별・유형별 새로운 조직과 편성에 맞는 정예화된 병력구조로 전환할 수 있는 구조적 대안을 도출하고, 이를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보적으로 위중한 시기에 한국군 군 구조 개편의 핵심인 육군 부대 및 병력 구조를 중심으로 제기되는 문제점을 진단 및 분석·평가하고, 다양한 변화요인 및 외국군 사례분석을 통해 한국군의 환경과 여건에 부합하는 현실적 대안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한 논의를 활성화하는데 있다.

The defense reform, which started in 2006, focused on shifting from the conventional military structure centered on troops to the military structure centered on advanced information and technology.,To this end, the military intends to greatly reduce and dismantle troops and troops, but to improve combat capability and efficiency by strengthening combat power through advanced power enhancement.,Therefore, the reorganization of the army was the main object of reducing the troops and troops, and the result of the reorganization is a major key task. It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project so far and diagnose future plans at this point 15 years later.,It is undeniable that the Army's restructuring plan has been faced with many problems in the process of repeating revisions and changes.,The current reorganization plan will reduce the number of standing troops to 500,000 by the end of 2022,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unit should continue until 2030 until 2026.,Consideri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reform that should be pursued while managing the existing military threats in North Korea, there is a deep concern about the current reorganization plan. The ROK military is likely to be influenced by major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increasing threats due to the advancement of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switching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nd establishing a combined command system, and changing strategic environment and defense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military structure.,Considering the seriousness of security situation that can be caused by these factors, the Army reorganization plan that requires reduction of large-scale troops and units is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review it in a direction that minimizes realistic gap and enhances feasibility. The reorganization of the army's unit and troop structure should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unit formation, maintain the appropriate number of units, and minimize the power gap through adjustment of the size of the standing forces, and promote the reorganization so that the combat power can be demonstrated.,To this end, the Army needs to review the transition of the current division-oriented unit structure to the brigade-oriented unit structure with speed and flexibility so that it can implement future military strategic goals and performance concepts.,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draw a structural alternative that can be converted into an elite military structure suitable for new organizations and formations by discharge and type, and to gradually and gradually promote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analyze and evaluate the problems raised around the army unit and the military structure, which are the core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Korean military structure at a time of security and critical, and to present realistic alternatives that meet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s of the Korean military through various change factors and case analysis of foreign military.

Ⅰ. 현실 인식과 문제 제기

Ⅱ. 한국군 군 구조 개편 결과 및 주요 결정요인 분석・평가

Ⅲ. 미국과 중국의 육군 부대・병력구조 개편 사례분석

Ⅳ. 한국 육군의 미래 부대・병력구조 개편을 위한 합리적 대안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