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an's Search for a New Security Role after the Persian Gulf War
걸프전 이후 일본의 새로운 안보 역할 탐색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전략연구
- 제24권 제2호(통권 제72호)
-
2017.07213 - 255 (43 pages)
- 3

아베 정권이 적극적 평화주의라는 기치 하에 보통국가화를 향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그와 같은 움직임은 전후 일본 안보정책의 근본적인 전환, 즉 요시다독트린으로부터의 탈피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주요 정책 결정 과정과 핵심 외교정책결정자들의 발언 및 행위에 대한 분석을 통해, 1991년 걸프전과 2003년 이라크전을 통해 표출되었던 미일간의 갈등과 협력이 그러한 의미심장한 전환의 시초였음을 강조한다. 탈냉전 초기 '수표 외교(checkbook diplomacy)'의 실패가 초래한 위기의식은 1990년대 초 오자와의 보통국가론과 1994년 히구치 보고서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자국의 안보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를 요구하였으며, 2003년 이라크전은 미일동맹에 기반한 일본의 역할 증대가 본격적으로 제도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해 냉전 종식 이후 미일동맹은 와해 또는 약화되기 보다는 오히려 강화되었으며, 미일간 포괄적 의미에서의 비용분담 재조정을 통해 변환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보통국가화를 향한 일본의 움직임을, 탈냉전기 동맹정책 재검토에 대한 미국의 요구와 이에 대한 일본의 수용에 따른 동맹변환(alliance transformation)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While Japan seems serious in its bid for a normal state and Prime Minister Abe in the name of Proactive Pacifism has made sustained efforts to revise national security laws, the understanding of Japan's renewed foreign policy activism requires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extends beyond party politics or personal traits.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Japan's foreign policy by locating the issue in a broader historical context centered on the U.S.-Japan alliance and claiming that such policy shift signals on-going disengagement from the traditional strategy of Yoshida Doctrine. By exploring the process of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 this paper underscores the role of the Gulf War and the Iraq War in Japan's redefinition of its security role and argues that the pattern of discord and cooperation between two countries in the two incidents helped shape Japan's foreign policy and thereby revive the alliance even after its original rationale for alliance formation had evaporated. After all, this paper provides a perspective to view Japan's policy shift in the light of alliance transformation as an outcome of close interplay between America's demand for an increased role and Japan's embracement.
Ⅰ. Introduction
Ⅱ. Japan’s Search for a New Security Role after the Persian Gulf War
Ⅲ. The Reinvigoration of the U.S.-Japan Alliance
Ⅳ. 2003 Iraq War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Japan’s Foreign Policy Activism
Ⅴ. Conclus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