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메가리전(mega-region)화, 어떻게 할 것인가?
What to do with Seoul's mega-region?
- 건국대학교 시민정치연구소
- 시민정치연구
- 제7호
- 2023.12
- 85 - 116 (32 pages)
김포의 서울시 편입논의는 메가시티의 행정체계개편 논의로 전개되고 있는 중이다. 서울시는 김포시를 편입하는 것이 도시의 공간구조란 관점에서 과연 바람직한 것인가? 도시는 역사적으로 점점 그 영향권역을 확대하여 왔고, 메가폴리스, 도시연담화, 메가 리전, 초광역권 등으로 생활권역이 확대되어 있다. 그러나 행정구역과 계층구조는 나라마다 각각 달라서, 생활권역과 행정권역의 불일치를 해결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한국의 경우는 이 문제를 합병이나 분리 등 급진적 광역행정 수단을 사용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는 중앙집권적 지방행정체제의 영향이 크다. 수도권역의 주민들의 생활권역은 이미 서울을 넘어, 경기도와 심지어 충청도와 강원도까지 확대되었다. 경기도는 분도를 주장하고 있고, 인천도 특별자치도 구상을 제시하여, 구역논의의 갈등을 어떻게 풀어야 할지 난제가 되고 있다. 서울시는 메가리전 현상에 대응하는 대안으로 한국형 레지옹 구상을 제시해 본다.
The discussion on Gimpo's incorporation into Seoul is developing into a discussion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Mega City. Is it really desirable for Seoul to incorporate Gimpo C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ity? Historically, the city has gradually expanded its sphere of influence, and the living area has been expanded to megapolis, urban conurbation, mega-regions, and ultra-wide areas. However, sinc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hierarchical structures are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there are various ways to resolve the inconsistency between living and administrative areas. In the case of Korea,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use radical metropolitan administrative measures such as merger or separation, which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centralized local administration system. The living area of the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has already expanded beyond Seoul, Gyeonggi-do, and even Chungcheong-do and Gangwon-do. Gyeonggi-do is insisting on a division and proposing the Inche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Plan, making it a difficult problem on how to resolve the conflict of regional discussion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roposes the Korean-style Legion Plan as an alternative to respond to the Mega-region phenomenon.
Ⅰ. 서울의 미래와 공간구조
Ⅱ. 도시의 공간구조의 역사와 이론
Ⅲ. 서울시의 공간구조의 확대와 메가시티 형성
Ⅳ. 한국의 바람직한 국토 공간구조에 대한 대안
Ⅴ. 결론: 서울의 미래 공간구조의 메가리전 재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