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를 기점으로 체선은 항만의 효율적인 운영을 저해시키며 더 나아가 직·간접적인 경제적인 손해를 입힐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로 국내 4개 항만(부산, 여수광양, 울산, 인천)을 대상으로 체선을 유해산출물로 고려한 SBM-DEA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19 창궐 이전보다 이후에 항만의 효율성이 전체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항만별로 갖춘 인프라와 예산에 따라 체선을 고려한 효율성도 상대적으로 다르다고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전후로 체선이 항만 효율성을 저해시키고 있으며 항만의 인프라와 예산이 체선과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항만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항만별로 여건을 고려하여 체선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과 정책을 구축해야 한다.
Since COVID-19, congestion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hinder the efficient operation of ports and cause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damag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SBM-DEA analysis with congestion as a undesirable output variabl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ngestion on the efficiency of four Korean ports (Busan, Yeosu-Gwangyang, Ulsan, and Incheon)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ports was lower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an before, and that the efficiency of each port was relatively different depending on its infrastructure and budget. This analysis shows that port efficiency is being negatively affected by congestion both pre- and post- COVID-19. Additionally, port infrastructure and budgets have a direct impact on congestion levels. To enhance port efficiency, it's important to implement appropriate systems and policies to manage congestion while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por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실증 분석
Ⅳ. 분석결과 및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