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는 러-우전쟁, 원자재가격 상승, 글로벌 통화긴축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크게 둔화되고 있으며 세계경제 불확실성으로 글로벌 공급망에 불안을 느낀 국가들을 중심으로 글로벌 가치사슬 및 글로벌 공급망의 로컬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산물 수출을 통한 농업기반 강화는 글로벌 식량가격 인상과 공급망 불안정 등으로 식량안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식량자원을 비롯한 수입의존도가 높은 주요식품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원을 확보할 수 있고 농수산식품 수출을 증대시킬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어 농업을 새로운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경쟁력 강화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산업군별 수출수요함수를 추정하여 농산물 수출수요 결정요인과 비교분석해보고자 한다. 분석대상기간은 1995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간자료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상위 10대 수출국을 분석대상국가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산업군별로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름을 알 수 있고 농산물의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역상대국의 국내총생산, 1인당 국내총생산, 교역상대국과의 상대물가지수, 연구개발투자액, 특정제품에 대한 교역상대국별 비교우위지수, FTA 체결여부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global economy is slowing down significantly due to the Russia-U.S. war, rising raw material prices, and global monetary tightening, and the localization of global value chains and global supply chains is actively progressing, especially in countries that have been unstable in global supply chains due to global economic uncertainties. Against this backdrop, strengthening the agricultural base through agricultural exports needs to seek way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to foster agriculture as a new export industry as it can secure stable sources for major foods that are highly dependent on imports, including food resources, and can be a new opportunity to increase exports of agricultural and fishery foods. In this study, the export demand function of each major industrial group in Korea is estimated and compared with the determinants of export demand for agricultural products. As for the analysis target period, the top 10 exporting countries in Korea were set as analysis target countries for annual data from 1995 to 2022. In summary, it can be seen that factors affecting exports differ by industry group, and factors affecting the ex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affected by the trade partner's gross domestic product, per capita gross domestic product, relative price index with trading partner, R&D investmen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by trading partner for specific products, and FTA signing or no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모형 및 자료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