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색이 다른 요로결석에서 칼라도플러 초음파의 트윈클링허상의 특성: 체외 연구

Characterization of Twinkling Artifact in differently Colored Urinary Stones in Color Doppler Ultrasound: an In-vitro Study

  • 1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제17권 제7호.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칼라도플러 초음파에서 요로결석의 종류에 따라 트윈클링 허상의 발생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색이 다른 두 종류의 요로결석에 대하여 물탱크에서 트윈클링 허상의 발생정도를 비교하고 결석의 표면과 성분을 분석하였다. 결석의 표면상태는 갈색의 결석에서 과립형 요철이 두드러져 보였다. 트윈클링 허상은 흰색의 결석에서 음향음영의 일부를 차지하는 1등급이 갈색의 결석에서 음향음영의 전체를 차지하는 2등급이 나타났다. 결석의 성분은 탄소와 산소를 제외한 칼슘과 인의 함유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석성분 중 인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결석표면이 매끄러우며 트윈클링 허상이 짧게 나타났다. 초음파검사로서 결석의 성분을 예측하기 위한 단편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치료계획에 도움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winkling artifacts according to the types of urinary stones in color Doppler ultrasound. For two types of urinary stones with different colors, the degree of occurrence of color Doppler twinkling artifact in water tank was analyzed, and the surface condition and composition of the stones were analyzed. The composition of Calcium and phosphorus were the most frequent components in white and brown stones excluding carbon and oxygen. Twinkling artifacts of color Doppler appear stronger in brown stone. The higher the phosphorus content of the stones, the shorter the twinkling artifact appears, so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main composition of stones.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V. CONCLUSION

Referenc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