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전략문제연구소_전략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러-중관계의 전개와 러시아의 대(對)중국 외교안보 정책

The Development of Russia-China Relations in the Post-Cold War Era and Russia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oward China

  • 4

중-소 분쟁 이후 긴장되고 소원해졌던 양국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러시아와 중국의 노력은 탈냉전기를 통해 비교적 성공적으로 지속되면서 러-중관계의 발전을 이루어 왔다. 물론 이러한 양국관계의 발전 배경에는 미국의 독주에 대한 견제라는 공통의 전략적 목표가 작용하였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중국의 급속한 부상과 그 영향력의 확장으로 양국 사이에 지정학적 및 전략적 갈등의 가능성은 고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이를 조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양국의 외교적 노력도 강화되고 있다.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전면적인 발전이라는 성과와 군사⋅안보적 협력의 부침 그리고 동북아, 특히 한반도에서의 이익의 충돌 등과 같은 도전은 향후 러-중관계를 규정하게 될 중요한 요인들이다. 한편 다시 대통령으로 돌아온 푸틴 대통령은 신동방정책을 통하여 향후 러시아가 아태지역 및 아시아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 가는 가운데 러-중 사이의 동북아 및 한반도를 둘러싼 이익 충돌의 가능성은 점차 높아가고 있다. 러시아의 극동개발과 중국의 동북3성 개발은 북한과의 관계에서 경쟁적 속성을 띠고 있다. 잃었던 북한과의 전략적 협력의 고리를 구축하는 과제와 더불어 그간 러시아의 이 지역에서의 전략적 행위자로서의 위상 회복을 견제해 온 미국과 지역적 수준에서 전략 협력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 러시아의 아태 및 동북아 지역에 대한 외교안보정책에서의 최대 과제가 될 것이다. 미국이 러시아와의 지역적 수준에서의 전략 협력을 회복 내지 거부하거나 부분적으로 수용하느냐에 따라 러시아의 대중국 정책은 부분적 편승과 균형자 역할 사이에서 기회주의적이며 반응적인 성격을 띠게 될 것이다.

To revitalize their relations which has been tense and estranged especially after the China-Soviet border conflict, Russia and China have been making relatively successful progress throughout the Post-Cold War era. It is rather obviously that behi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there is a common strategic goal of holding the US in check. Nonetheless, with the rapid rise of China and the expansion of its influence, the two countries may be facing a possible geopolitical or strategic competition. The two governments are well aware of that and are willingly increasing their diplomatic efforts to control and maintain. The overall development of extensive strategic partnership, the fluctuation of security and military cooperation, and challenges such as the complication of interests especially in the Korean Peninsula are key factors which will eventually determine the future Russia-China relations. Recently, Russian President V. Putin, back for his third term, is strengthening Russia’s efforts to increase its influence in the Asia Pacific and in Northeast Asia through the New Eastward Policy, which can create an atmosphere of potential complication of its interest with that of China in Northeast Asia and/or in the Korean Peninsula. Russia’s Far East Development and China’s Northeast China (Dongbei) development projects are competitive in nature. Along with the task of recovering the strategic link with North Korea, the task of recovering the link of strategic interaction with the US on the regional level, which has kept Russia from regaining its status as a strategic actor in the region, are major tasks of Russian foreign security policy towards the Northeast Asia and/or Asia Pacific. Depending on whether the US accepts to recover its strategic relations with Russia on the regional level, reject, or only partially accept, Russia’s policy towards China will show an opportunistic and responsive characteristic that lies between the roles of partial band-wagoning or balancing.

I. 문제 제기

II. 러시아-중국 관계의 전개

III. 푸틴 3기 러시아 외교안보 정책과 러-중관계

IV. 맺음말: 러-중 관계 전망과 정책적 시사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