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전략문제연구소_전략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U.S. Military Transformation: Implications for Northeast Asia and Korea

미국 군사변혁이 동북아와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함의

  • 4

미국의 군사변혁 노력은 1991년 이후 국제안보환경, 군사기술, 조직행태, 동맹능력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아왔다. 소련의 위협을 저지하기 위해 요구되었던 군사배치, 군사기지, 전력과 명령체계가 냉전의 종식과 더불어 1990년대에 들어와 군사변혁의 첫 단계가 시작된 것이다. 2001년 이후 시작된 군사변혁의 두 번째 단계는 급속한 세계화에 따른 비대칭 위협, 비정규전, 복잡하고 과도기적 도전에 대한 높은 경각심에서 비롯되었다. 미국의 군사적 패권이 지속되는 한 대부분의 국가들은 앞으로 전통적인 수단으로는 미국에 대항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미국의 군사기획 담당자들은 향후 10년 이상 비대칭전이 분쟁의 주된 형태가 될 것으로 예측한다. 2001년과 2006년의 ‘4개년 방위검토’(QDR)는 모두 ‘불확실성’이 국제 안보환경의 또 다른 특징이라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더 이상 언제 어디서 미국 또는 미국의 동맹국이 공격을 당할 지 알 수 없게 된 것이다. 안보는 대규모 전쟁, 적성국의 비대칭 공격,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의 확산, 혹은 대량살상무기를 수단으로 한 국제 테러리즘 등에 의해 위협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평가를 기초로 미국의 군사기획 담당자들은 다양하고 비대칭적인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유연한 방위태세’(more flexible posture)가 필요하며, 미군의 배치와 작전 또한 지역적인 수준에서 범세계적 수준으로 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2004년 완성된 ‘범세계적 방위태세 검토’(GPR: Global Posture Review)는 해외주둔 미군의 지리적 재편의 큰 틀을 잡았다. GPR은 국제적인 군사작전과 이를 위한 미군기지의 요건들을 재평가하고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 미국은 군사작전지역뿐만 아니라 군사시설이 드문 지역까지를 포함한 광범위한 지역에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접근해야 하고, 잠재적인 불안과 갈등을 지닌 지역에 군대를 배치하고 운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냉전시기의 수많은 기지들의 통합도 고려해야 한다. 동북아에서의 GPR 작업은 한국 및 일본과의 협의와 교섭을 통해 이루어졌다. 2004년 한국정부와 몇 차례 마찰이 있기는 했으나, 미 국방부 당국자들은 곧 이러한 핵심 동맹국들과의 효과적 교섭과 안보 협력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동맹국들이 새로운 책임을 수행할 능력이 있는지 그리고 국내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조심스런 평가 또한 미국의 군사변혁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고 지역안정과 안보를 유지해 나가는데 필수적 요소라는 점도 인식하게 되었다. 종종 어려운 상황을 연출하긴 했지만, 지난 수년간 일본 및 한국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오랜 동맹국들에 대한 미국의 방위 공약을 강화하는 한편 9.11 이후의 새로운 안보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 내 미군 방위태세의 변혁을 이끌어 냈다고 할 수 있다. 동시에 일본과 한국 모두 국제안보문제에 대한 관여의 정도가 높아졌다. 일본은 인도양, 이라크, 기타 중동지역에 자위대를 파견했고, 한국은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 파병했다. 세계의 안정과 번영에 동아시아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미국이 한국, 일본, 호주, 태국, 그리고 필리핀과 동맹을 유지하는 것은 향후 십년 간 미국외교의 우선순위를 점하게 될 것이다. 2기 부시정권은 미국의 전략 목표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동맹과 국제적 동반자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맥케인과 오바마 모두 집권할 경우 유럽과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동맹관계를 활성화하는 데 역점을 두겠다고 공약하였다.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군사작전 그리고 반테러 활동을 펼치는 가운데 얻게 된 교훈을 바탕으로 미국 군사변혁의 또 다른 단계가 시작되었다. 이는 엄밀히 말해 군사변혁이라기 보다는 정부변혁(governmental transformation)에 가깝다. 즉 군사적 수단만으로는 이러한 분쟁에서 승리를 얻을 수 없다는 뼈아픈 교훈을 얻은 것이다. 미국과 동맹국 간의 정부 및 비정부 차원의 다양한 요소들이 잘 결합되어야만 성공할 수 있다. 따라서 2006년 QDR은 미국정부가 민군 통합작전을 실행하고, 특히 국방부의 경우 국제적 동반자와의 협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이들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역점을 둬야한다고 역설했다. 작년 조셉 나이 전 국방부 차관보과 리처드 아미티지 전 국무부 부장관이 주도한 ‘CSIS Commission on Smart Power’ 보고서와 게이츠 국방장관이 강조한 것은 소프트파워를 활용하는 미국의 역량을 증대시키고, 이와 관련하여 국무부와 여타 부처의 예산을 늘리고, 소프트파워와 하드파워를 좀 더 기술적으로 통합하는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향후 수년간 지속될 군사변혁의 다음 단계는 소프트파워와 하드파워의 균형을 찾는 노력이 될 것이다.

Ⅰ. U.S. Military Transformation in Perspective

Ⅱ. The 2004 Global Posture Review

Ⅲ. Realignment and the Future U.S.-ROK Military Relationship

Ⅳ. Transformation of the ROK Armed Forces

Ⅴ. OPCON Transfer

Ⅵ. Realigning the U.S. Military Presence in Japan

Ⅶ. Impact on Security in Northeast Asia

Ⅷ. Shaping a Broader Vision of the U.S.-ROK Alliance

Ⅸ. The Future of the U.S.-Japan Alliance

Ⅹ. Conclusion : America's Future Engagement in Northeast Asia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