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Career Self-Directed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4권 1호
-
2024.01485 - 496 (12 pages)
-
DOI : 10.22251/jlcci.2024.24.1.485
- 238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구안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우선, 대학생의 진로 자기주도성 관련 선행연구를 탐색하여,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회기별 내용과 진행 방법을 결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2023년 3월 2일부터 2023년 6월 16일까지 수도권 소재 대학의 재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우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배치한 뒤, 실험집단에 진로 자기주도성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한 도구로 대학생 진로 자기주도성 척도(최지은, 조용선, 2022a)를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진로 자기주도성의 7개 하위요인(진로자기이해, 진로책임감, 진로탐색에 대한 지속성, 진로수용성, 진로정보탐색 및 자원 활용, 진로자율성, 진로확신성),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실험집단에서 진로정보탐색 및 자원활용과 진로자기이해 영역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는데, 이는 자신의 관심분야의 현직자 인터뷰와 강점과 연계한 실제적 진로탐색이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한다. 결론 이 연구는 진로 자기주도성이라는 진로변인에 주목하여,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불확실한 직업 환경에 처한 대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개발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reer self-dire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To this end, first of all, prior research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career self-direction was explored, and the purpose and goal of the program, and the specific session content and method of progress of the program were determined. The effectiveness test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40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March 2, 2023 to June 16, 2023. First, 20 people were assigned to each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n a career self-direct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university student career self-direction scale (Ji-eun Choi, Yong-sun Cho, 2022a) was used as a tool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ll seven sub-factors of career self-direction (career self-understanding, career responsibility, con-tinuity of career exploration, career acceptance, career information search and resource utilization, career autono-my, and career confidence). In particula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distinct changes in the area of career information search, resource utilization, and career self-understanding.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 a career self-dire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paying attention to the variable of career self-direction that was not found in previous studies. Through the developed program, it is expected that university students in uncertain work environments will be able to develop their careers on their ow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