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개념

The Concept of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 17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호.jpg

목적 본 연구는 일반교육의 기본 개념 논의를 통하여 현대 초등교육의 관점에서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성격을 논의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초등교육 기본 성격 및 개념 관련 국내외 단행본 및 학회지 게재 논문 등 다양한 정보 검색에 의해 수집된 자료 등을 중심으로 검토되었다. 결과 일반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은 교육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인성과 지성 그리고 최근 강조하고 있는 역량을 포괄하여 개념화되는 교육이다. 첫째, 일반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은 인간의 가치를 존중하고 인간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교육이다. 첫째, 일반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은 인간의 가치를 존중하고 인간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교육이다. 셋째, 일반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은 최근 강조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역량을 강화하는 역량기반의 일반교육이다. 결론 일반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은 교양교육 혹은 자유교육에 대한 이론적 측면보다는 교육의 실제적인 측면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는데, 단순히 이론적 지식을 넘어 기능, 능력, 태도 등 지식을 보다 효과적이고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실제적인 역량기반의 초등교육이 곧 일반교육의 현대적 개념인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discusses the nature of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elementary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was reviewed with a focus on data collected through various information searches,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books, dissertations, and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research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of elementary education. Results As a result,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is conceptualized as encom-passing character, intelligence, and the competencies that have recently been emphasized in the historical con-texts of education. First,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is education that respects human values and creates human identity. Second,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lays the founda-tion for acquiring knowledge needed in a changing modern society, developing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based on the acquired knowledge, and enhancing intelligence in the course of life. Third,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is a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that strengthens competenc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Conclusions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needs to focus on the practical aspects of education rather than the theoretical aspects of liberal education or liberal education, so that knowledge such as skills, abil-ities, and attitudes can be utilized more effectively and comprehensively beyond simply theoretical knowledge. Practical competency-based elementary education is the modern concept of general education.

Ⅰ. 서론

Ⅱ.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의 기본 이해

Ⅲ. 일반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 성격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