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전략문제연구소_전략연구.jpg
KCI등재 학술저널

[특집] The Securit-Militar Strategic Situation in Northeast Asia and the Security of Korea in 2004: The view from Moscow

2004년 러시아의 안보-군사전략 환경과 한반도 안보: 러시아의 시각

  • 6

러시아 지도층이 자국의 국방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전세계 안보 -군사환경의 전반적인 추세를 고려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또한 그들은 9.11 테러 이후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사회가 범국가적 테러 , ’불량국가들’ (rogue states), 대량 살상무기 (WMD) 를 민주주의 국가블을 위협하는 실체들로 간주하고 있다는 사실도 고려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성격의 위협들이란 그 뿌리가 매우 갚고 비대칭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어 근본적으후 전통적인 방법으로 극복하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 러사아는 군사 -안보상막 시각에서 한반도와 그 주변 상황이 상당히 섬각한 (a quite alarming) 것으후 판단하고 있다. 한반도상에서 대규모 군사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여전히 줄어들지 않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 이와 같은 상황 평가는 최근 2 년 동안 일어난 일련의 비관적인 정치 -안보적인 사건들만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최근의 사태가 지니는 군사적인 함의들에 기초하고 있다 . 남북한 양국의 군사력은 상당한 수준에 올라 있으며 , 지금도 지속적으로 증강 되고 있다.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어 일어날 경우 , 미군이 주요 플레이어가 될 것은 불가피할 것이며 , 남북한 양국뿐만 아니라 주변국들에게도 엄청난 폐해가 돌아갈 것임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 이러한 사실에 가초하여 러시아 극동지역의 행정 덩국은 작년에 얼련의 대응 조차들을 취한 바 있다. 그중 하나가 러시아 극동 군관구 소속 부대들이 참가한 여러 차례의 군사훈련이다 . 이 훈련에는 극동군이 주도한 군사훈련뿐만 아니라, 민방위-비상사태부 , 경제발전-무역부, 보건부 등을 포함한 다른 부처들도 참여했던 포괄적언 훈련들까지도 포함되었다 . 앞서 기술한 조치들은 인점한 한반도 유사시 일어날 수 있는 사태에 대처하기 위한 비상계획을 세우는 데 가장 중요 한 목적을 두고 취해졌다. 구체적으로 보면, 러시아 국경지대의 군사-안보 여건을 위협하는 사태 , 북한 난민의 대규모 유입 , 혹은 환경오염 문제 등을 들 수 있 을것이다. 러시아군의 일반 상황 평가 물론 앞서 기술한 사건들은 현재 러시아군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나 조치들의 일부분이다 . 이제 러시아군의 전반적인 상황을 살펴보도록 한다 . 최근 몇해 동안 6-7% 를 기록한 경제성장 추세에 힘입어 러시아 지도층은 군사력 정비에 좀 더 많은 재정을 할당할 수 있었다. 런던 소재 국제전략문제연구 소의 전문가들은 2002 년도 러시아 국방부문 지출내역을 무기수출/수업을 포함해 서 500억 8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러시아군은 모두 96만명의 상비군과 2 천만 명의 예비군 병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핵전력이야말로 러시아 군사 잠재력의 기본 축을 이룬 다 . 2003 년도 통계를 보면 8,232 개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4,852개가 전략핵탄두어다 . 군사력 정비의 우선 순위는 공격 및 방어용 전략군 장비들에 주어져 있다 . 그 중에는 Topol-M(SS-27) 에서 개량한 신형장비로서 〈불라바> (Bulava) 잠수함탑재탄도미사일이 포함되어 었다 . 또한 GLONASS 위성항법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스트럭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재 11 개에 지나지 않는 위성의 숫자를 2007 년에는 17 개 , 2010 년 이전에 24 개로 증가 , 발사할 계획이다 . 아울러 S-400 방공미사일체계는 S-300 을 대체할 것이다 . S-300 세대 가 추적하는 목표물수를 모두 커버할 수 있어 인력 면에서나 보수유지 면에서 나 크게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 러시아군이 현재 당면하고 있는 주요 과제들 중의 하나가 군개혁이다 . 실제로 군개혁의 실행이야말로 러시아 지도층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 현행 군개혁 은 러시아군의 현대화를 겨냥하고 있으며 , 특히 직업군인들의 비율을 높이는 데 상당한 비중을 두고 있다 . 현재 러시아 정부는 2005 년 말까지 분쟁자역에 더이상 징집병들을 보내지 않아도 될 만큼 충분한 자원병 인력풀을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에 따라 체첸공화국에 주둔하고 있는 제 42 기계화소총사단은 앞으후 자원병으로만 2 만 5 천 명의 병력을 할당받게 될 것이다. 또한 2003 년 7 월 , 북양함대와 태평양함대 사령관들의 발언에 따르면 2005 년말 이전까지 모든 잠수함 승무원들은 모두 자원 병으로 교체될 예정이라고 한다. 해군보병 ( 쾌병 ) 도 역시 전원 모두 자원병 연력으로 채워질 모양이다 . 지난해 러시아 군사훈련의 수준도 많이 량상되었고 횟수도 늘어났다 . 지상 l 군의 경우 , 전술훈련기간이 50% 나 늘어났으며 , 공군 조종사들의 비행훈련시건도 11%, 해군 함정들의 해상훈련도 25% 나 증가하였다. 아울러1999-2002 년 기간 동안 무기수출 수입은 거의 두 배로 늘어났다 . 이 기간 동안 207 억 4 천 1 백만 달러 상당의 무기를 판매함으로써 러시아는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무기를 많이 수출한 국가가 되었다 . 한반도 안보상황에 대한 러시아의 시각 지난 2 년 동안 한반도는 동북아시아에 대한 전세계 정치의 핵심 현안으로 남아있었다 . 한반도 상의 정치-군사적인 긴장은 2002 년 초 북핵 위기가 다시 촉발됨으후써 더욱 고조되었고 , 앞으로 더욱 악화될 수 있는 가능성도 여전하다 . 6자회담의 형식을 통해 이뤄진 다자 외교 노력은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동시에 6 자회담의 주요 참가국들 , 즉 미국과 북한의 군사적 준비태세는 비밀리에 지속되고 있다 .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문제는 워싱턴과 평양 사이에 놓인 상호불신의 수위를 낮출 수 없다는 데 있다. 솔직히 말해 그 불신이야 말로 1994 년 제네바 합의가 실패로 돌아가도록 하고 현재의 2 차 북핵 위기가 다시 촉발하도록 한 배경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적인 시각에서 볼 때 현 상황에 대한 좀 더 정확한 기술 ( 記述 ) 을 굳이 찾자면 , 2004 년 4 월 15 일 러시아의 〈브레야 노보스찌 > (Vremya NovosteD 에 ”무너져내린 한국의 벽 잔해 위에서”라는 제목으후 쓴 러시아 전문가의 가사에서 찾을 수 있다. “본질적으로 이 위기 (2 차 북핵위기 : 역자주 ) 는 두 갈래로 서로 맞선 정치적 움직임간의 갈등이 빚어낸 결과이다. 한쪽은 북한 정권을 제거하려 는 미국의 의지와 또 다른 한쪽은 생존하고야 말겠다는 북한 지도층의 본능적인 대응인 것이다. 김정일은 미국인들이 결코 북한의 주체사상으로 무장된 정권을 무너뜨리려는 계획을 단념하지 않을 것임을 잘 알고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 한 정권은 대량살상무기의 독자 개발까지도 불사하면서 끝까지 투쟁을 계속할 것이다” 위의 언급은 현재 미-북간의 갈등을 정확하게 정의 내리고 있다. 전문가들 중에 미국의 진정한 의도가 북한의 핵개발프로그램 폐기에 있다고 믿는 사람은 거 의 없다. 이를 위해서는 2 차 북핵 위기 발발 직후부터 평양이 제안하는 미북간의 직접 대화에 응한 다음 , 북한 지도층의 이유있는 우려를 고려해 체제유지를 보장 하는 대신 북한의 핵시설 폐기 ( 북한에 설제로 시셜이 있을 경우 ) 와 군사적 목적 의 핵개발을 중단하도록 요구하는 것으혹도 충분했을 것이다. 수사적인 설명은 이제 그만 두고 워싱턴과 평양 양측 간의 문제접근 상의 근 본적인 차이를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싶다. 미국 측의 변수는 다자적인 틀 속에 서의 협상에 초점을 두긴 하지만 , 현 상황이 변화되는 날까지 , 즉 북한 정권이 제거되는 날까지 북한에 대한 압력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 이는 평양으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제안인 것이다 . 왜냐하면 평양 당국으로 서는 WMD 를 거부히는 대신 체제보장을 받기를 원하고 , 이는 바꿔 말하면 현재 상태를 존속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 현재로선 그 어떤 이도 ( 아마 미 공화당 정부의 보수세력을 제외하고는 ) 한반도 상에서 전쟁이 재발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 그렇다면 북핵 협상에 참가하고 있는 러시아 , 중국 , 한국과 다른 참가국들의 주요 목표는 한편으후는 북한으로 하 여금 지나친 요구를하지 않고 되돌어킬 수 없는 행동을 자제하도록 하는 데 있 으며 ,

Ⅰ. Introduction

Ⅱ. The Policy and Strategy of National Securit and Militar Affairs of Russia in 2004.

Ⅲ. Political-Military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round.

Ⅳ. The Russian Policy, Strategy and Combat Readiness on Northeast Asia in 2004.

Ⅴ. The Russian Policy, Strategy and Combat Readiness on Korean Peninsular in 2004.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