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1915년에 편찬된 崔南善의 『新字典』 내에 있는 揷圖의 현황을 파악하고, 『신자전』 내 삽도의 유래와 특징적인 면모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신자전』 이후 편찬된 한국의 한자자전 내 삽도에의 영향 및 동시기에 편찬된 한국과 중국의 한자자전 사이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한국 근대시기 자전에 대한 연구는 편찬의 동기 및 영향 관계, 구성 방식, 수록한 한자의 형・음・의 등에 대한 고찰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는 당시 자전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유용한 연구방법이다. 이에 더하여 자전 내에 수록되어 있는 삽도에 대해 주목하여 그것의 유래와 특징을 고찰하고 영향 관계를 검토한 본 연구도 또한 당시 자전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유용한 연구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남선 편 『신자전』은 근대시기에 한국에서 간행된 자전 중 처음으로 삽도를 활용한 경우로, 표제자 아래에 삽도하였다. 둘째, 최남선 편 『신자전』은 동시기 중국 陸爾奎 主編 『신자전』의 삽도에서 영향을 받았다. 구체적으로는 삽도의 기능에 대한 인식, 동일 표제자에 대하여 동일한 삽도를 제시하였다. 셋째, 최남선 편 『신자전』의 삽도는 陸爾奎 主編 『신자전』의 영향을 받은 것이나 陸爾奎 主編 『신자전』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崔南善 편 『신자전』 내 삽도는 王圻의 『三才圖會』, 聶崇義의 『三禮圖集注』와 유사한 경우도 있었다. 1915년에 편찬된 최남선의 『신자전』 내에 있는 삽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신자전』 내 삽도의 유래와 특징적인 면모를 고찰한 본 연구는, 이후 한국과 중국의 한자자전 사이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일조할 것이다. 더불어 향후 동아시아 서적 교류 연구에도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illustrations in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in 1915, and to analyze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llustrations in 『Sinjajeon』. Through this, the influence of illustrations in Korean Word Chinese-character dictionary compiled after 『Sinjaje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rd Chinese-character dictionarys compiled at the same time were identified. Research on the dictionary in Korea was mainly conducted on the ‘motivation and influence relationship of compilation’, ‘organizing method’, and ‘shape, sound, and meaning of recorded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o this, this paper focused on the illustrations in the dictionary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illustrations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was reviewed. The results of the review are as follows. First,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was the first Korean dictionary to use illustrations, and was introduced under the Chinese character. Second,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was influenced by the illustrations of China's 『Xinzidian』 edited by Er-kui Lu at the same time. Third, the illustration of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was influenced by 『Xinzidian』 edited by Er-kui Lu. However, it was not necessarily the same with 『Xinzidian』 edited by Er-kui Lu. The illustrations in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were similar to Wang-Qi’s 『Sancaituhui』 and Nie-Chong Yi’s 『Sanlitujizhu』.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illustrations in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in 1915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illustrations in 『Sinjajeon』.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influ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rd Chinese-character dictionary. In addition,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book exchanges in East Asia in the future.
1. 서론
2. 근대시기 字典과 揷圖
3. 崔南善 編 『新字典』의 揷圖 현황
4. 중국 陸爾奎 主編 『新字典』과의 영향 관계
5. 崔南善 編 『新字典』의 揷圖 특징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