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지도연구 제15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을 활용한 조선후기 군현도로 복원

Reconstruction of Late Joseon Intercounty Network of Roads Using Histor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HGIS): Focused on Roads of Hwanghae province in “Yeojidoseo(輿地圖書)”

DOI : 10.22787/oldmap.2023.15.2.001
  • 72

본 연구의 목적은 18세기 중반에 제작된 『여지도서』 황해도 도로조 내용을 토대로 군현 내 조성된 교통로를 복원하고 결과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여지도서』 도로조에는 군현 내 조성된 교통로에 관한 내용이 출발지ㆍ목적지ㆍ경유지ㆍ거리 등으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다만 도로조의 기재 사항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며, 군현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로 복원을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 다소 상이한 군현별 도로조 내용을 종합하여 도로를 연결하는 경유지에 대한 정보를 유형 분류하고, 지명을 통합하는 등의 데이터베이스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황해도 내 군현을 연결하는 교통로 정보로 92개의 경유지를 추출, 중복 지명과 위치 정보 등을 비교 분석하여 69개의 위치값을 만들었다. 경유지의 현재 위치 비정은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현재 지도와 근대지형도를 중첩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신뢰도 차이가 있지만 69개의 지명 정보에 대한 현재 위치를 비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치 비정한 경유지를 노드로 연결하는 교통로 복원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지도서』 황해도 도로조에 있는 58개의 노선을 정리하였으며, 근대지형도 상의 상급 도로를 기반으로 실제 모습에 가까운 형태의 도로 레이어를 제작하였다. 이상 작업을 통해 황해도 23개 군현을 연결하는 군현도로 체계를 시각화하였고, 해주와 서북부 군현을 연결하는 도로의 고도값 분석을 통해 지형적인 제한이 있음에도 황해도 내 군현도로를 통한 인적ㆍ물적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transportation routes in the county based on the “Yeojidoseo(輿地圖書)” Hwanghae(黃海) province road article produced in the mid-18th century and present the results. The “Yeojidoseo” road article details the transportation routes in the county, categorized by origin, destination, waypoint, and distance. However, not all of them are the same,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counties. In this study, as a first step in restoring transportation routes, we attempted to synthesize the slightly different road articles of each county, categorize information on waypoints connecting roads into types, integrate place names, and create a database. As a result, 92 waypoints were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of transportation routes connecting counties in the Hwanghae province, and 69 location values were cre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duplicate place names and location information. As the next step for road restorati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rganized waypoints was determined. Using a GIS program, the current map and modern topographic map were superimposed and analyzed,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69 locations was determined despite the difference in reliability. Finally, we attempted to restore the transportation routes connecting the waypoints to the nodes. For this purpose, we organized 58 routes in the “Yeojidoseo” Hwanghae province road article, and created a road layer based on high level roads on modern topographic maps. Through the above work, we visualized the intercounty network of roads connecting the 23 counties of Hwanghae province, and confirmed that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were actively conducted through county roads in Hwanghae province despite topographical limit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elevation values of roads connecting Haeju(海州) and the northwestern counties.

1. 서론

2. 『여지도서』 도로조 정보 검토

3. 『여지도서』 도로조 정보 공간처리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