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지도연구 제15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19세기 중반 영국 수로국 제작 해도에 나타난 한반도 해안선 및 지명 기재 양상의 변화

Changes in Korean Peninsula Coastline and Place-name Descriptions in mid-19th century British Hydrographic Office Charts: Focusing on Nautical Chart no. 2347

DOI : 10.22787/oldmap.2023.15.2.005
  • 45

19세기 중반 영국 수로국이 작성한 해도는 실측에 기반하여 작성된 까닭에 지도의 정확성이 높았고, 이 때문에 대표적인 세계 해도로 인정받았다. 한반도와 주변 수역은 영국 수로국이 제작한 해도상에 19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였고, 해를 거듭해 기재 내용이 보강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19세기 중반에 제작된 영국 해도 2347번에 나타난 한반도 해안선의 변화를 1855년, 1861년, 1871년, 1876년에 작성된 총 4개의 해도에서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1855년 한반도와 일본 열도를 포함한 지도인 2347번 해도가 임시 해도로 작성된 이후 꾸준하게 지도가 개정되었는데, 한반도의 경우 1861년 해도에서는 동해안이 급격하게 변경되었고, 1871년 해도에서는 서해안 중부 강화도 일대 지역이, 1876년 해도에서는 서해안 남부 및 남해안 일대의 해안선이 변경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지명의 경우에도 한반도 및 주변 수역에 기재된 지명의 개수가 1855년에 95개, 1861년에 160개, 1871년에 225개, 1876년에 340개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지명 중 섬이나 해안지형 관련 자연지명이 다수를 점유하였으나 1876년 해도에서는 도와 군현 명칭이 128개 기재되어 인문지명이 보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영국으로 대표되는 근대적 서구 제국주의 국가가 한반도의 바다와 해안선 및 내륙 지리 정보를 확보해 간 과정 및 내용을 해도를 통해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nautical charts produced by the British Hydrographic Office in the mid-19th century were based on actual surveys and were recognized as the most accurate maps of the world.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surrounding waters first appeared on nautical charts produced by the British Hydrographic Office in the mid-19th century, and were expanded over time. In this study, this author examine the changes in the Korean Peninsula's coastline as depicted in the mid-19th century British nautical chart no. 2347, which was created in 1855, 1861, 1871, and 1876. Specifically, this author found that the map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has been steadily revised since 1855, when Nautical Chart no. 2347 was created as a provisional nautical map. In the case of the Korean Peninsula, I found that the east coast was drastically changed in the 1861 map, the west coast around central Ganghwa Island in the 1871 map, and the coastline along the southern part of the west coast and the south coast in the 1876 map. In terms of place names, this author found that the number of place nam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urrounding waters increased from 95 in 1855, 160 in 1861, 225 in 1871, and 340 in 1876. While physical geographical place names related to islands and coastal features dominated the list of place names, the 1876 list showed an increase in human geographical place names, with 128 provincial and county nam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mpirically examines the process and content of how the modern Western imperialist states, represented by the United Kingdom, secured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the Korean Peninsula's seas, coastlines, and inland geography through nautical charts.

1. 서론

2. 영국 수로국의 동북아시아 해도 제작

3. 영국 해도 2347번에 나타난 한반도와 주변 수역

4. 해도에서의 한반도 해안선 변화 및 지명 기재 변화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