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뉴노멀 시대 임부의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와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이 산전 우울에 미치는 영향
Digital Health Literacy and Health Self-efficacy on Prenatal Depression among Pregnant Women in the Post-pandemic New Normal Era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Vol.19 No.11
- : KCI등재
- 2023.12
- 27 - 46 (20 pages)
본 연구는 팬데믹 이후 뉴노멀 시대 임부의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와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및 산전우울의 수준을 파악하고, 산전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만18세 이상 임신 1기, 2기, 3기 임부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2023년 7월 18일부터 25일까지 온라인설문을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디지털헬스 리터러시는 33.17(2.76)점으로 측정되었고, 산전 우울이 있는 임부가 69(28.7%)명, 산전 우울이 없는임부가 171(71.3%)이었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산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하위 영역인 정보검색과 정보의 개인적 관련성을 결정하고 적용/사용, 사회적지지(3명 이하)과 산전진찰(불규칙)이었으며, 28.6%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팬데믹 이후 뉴노멀 시대임부의 산전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으로 임부의 건강관리 자기효능감과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assessed digital health literacy, health self-efficacy, and prenatal depression among pregnant women in the post-pandemic new normal era. Further, it sought to understand the impact of prenatal depression. The study included 240 pregnant wom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8.0, and the digital health literacy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at 33.17(2.76). In terms of prenatal depression, 69 (28.7%) did not have it (0-9 points), while 171 (71.3%) di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following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enatal depression: health self-efficacy, the digital health literacy subdomains of Information searching, and determining personal relevance of the health information, limited social support (< 3 persons), and irregular prenatal examination. These factors collectively accounted for 28.6%of the variance in prenatal depression.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healthcare self-efficacy and digital health literacy to prevent prenatal depression among pregnant women in the post-pandemic.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