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정책연구 제23권 제4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hild welfare workers

DOI : 10.46330/jkps.2023.12.23.4.223
  • 89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동시에 이러한 인과관계가 시설유형(생활시설 및 이용시설)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2021년 충청남도에 위치한 아동복지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종사자가 인식하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이 낮을수록 이직의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사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직무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시설유형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사이의 인과관계는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 관련 특성요인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o determine how these causal relationships differ by facility type (living facility and use facility).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a survey conducted in 2021 among workers at a child welfare facility in Chungcheongnam-do.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that, first, the higher the perceived job stress,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Fifth, job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is means that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re directly affected by job stress, but indirectly through job satisfaction. Finall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did not differ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facilit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various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child welfare facility work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