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전리 각석의 모암은 백악기 경상누층군의 대구층에 속하는 셰일이다. 이 암석은 열변질을 받아 혼펠스화 되어 경도가 높고 치밀한 조직을 갖는다. 각석의 표면은 일정한 깊이의 풍화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비풍화대와는 광물 및 화학조성에 차이가 있다. 각석의 물리적 손상도 평가 결과, 균열은 대부분 층리와 평행하게 나타나며 상대적으로 조직의 치밀도가 낮은 상부에 집중된다. 탈락은 각석의 상부와 하부에서 전체 면적의 6.0%를 차지하며, 균열이 교차하는 쐐기작용에 따라 생성된 것으로 보이다. 표면을 점유하는 1차 박락은 전체면적의 23.8%이며, 2차 박락은 9.3%, 3차례 이상 발생한 박락은 3.4%로 산출되었다. 이는 자연적 풍화와 과거 이곳에서 화장하던 풍습으로 인한 열충격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음파 물성으로 보아 각석은 층리와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높은 강도를 지시하며, 물리적 손상이 적은 영역은 평균 4,684m/s를 기록하였으나 균열대 및 박리박락이 심한 곳은 평균 2,597에서 3,382m/s로 차이를 보였다. 천전리 각석의 물리적 손상은 풍화작용이 반복되면서 암석 표면이 내부보다 정도가 심화되고 광물의 결합력이 약해져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비풍화대보다 풍화대에서 응력이 크게 발생할 때 상대적으로 풍화된 표면이 지지력을 잃고 박락이 발생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Host rock of Cheonjeon-ri petroglyph is shale belonging to the Daegu Formation of Cretaceous Gyeongsang Supergroup. The rocks were hornfelsified by thermal alteration, and shows high density and hardness. The petroglyph forms weathered zone with certain depth, and has difference in mineral and chemical composition from the unweathered zone. As the physical deterioration evaluations, most of cracks on the surface appear parallel to the bedding, and are concentrated in the upper part with relatively low density. Breakout parts are occurr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etroglyph, accounting for 6.0% of the total area and occurs to have been created by the wedging action of cracks crossing. The first exfoliation parts occupying the surface were 23.8% of the total area, the second exfoliations covered with 9.3%, and the exfoliation parts with three or more times were calculated as 3.4%. It is interpreted that this is not due to natural weathering, and the thermal shock caused by the cremation custom here in the past. As the ultrasonic properties, the petroglyph indicates highly str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bedding, and the area with little physical damage recorded mean of 4,684 m/s, but the area with severe cracks and exfoliations showed difference from 2,597 to 3,382 m/s on average. Physical deterioration to the Cheonjeon-ri petroglyph occurred to influence by repeated weathering, which caused the rock surface to become more severe than the inside and the binding force of minerals to weaken.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when greater stress occurs in the weathered zone than in the unweathered zone, the relatively weathered surface loses its support and exfoliation occurs.
1. 서론
2. 연구방법
3. 현황 및 재질특성
4. 물리적 손상도 진단 및 평가
5. 보존과학적 고찰
6. 결론
References